김원본 광주시교육감의 '리더십'이 또 다시 상처를 입게됐다.
지난 8월 말 기응서 부교육감의 정년 퇴임으로 공석이 된 이후 부교육감 후보로 추천한 인사들이 국회와 교육부 '검증과정'에서 연거푸 '제동'이 걸리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이맘 때 교육계에 충격을 몰고 왔던 광주학생들의 수능부정 행위와관련해 김 교육감에 대한 사퇴 여론이 불거진 이후 레이덕 현상이 가속되고 있는 것이 감지되고 있는 가운데 부교육감 문제마저 매끄럽게 처리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김 교육감이 9월 부교육감 후보로 추천한 윤영월 서부교육장의 경우 작품 특혜 기증 의혹이 국정감사에서 지적된데 이어 지난달 부교육감 후보로 추천한 박종채 시교육국장 마저 '수능부정행위 책임론'이 제기되면서 제동이 걸렸다.
교육부 인사담당 관계자는 4일 "박 교육국장의 경우 지난해 고교 교장시절 해당 학생이 수능부정행위에 연루돼 지역여론이 좋지 않다"며 사실상 박 국장에 대한 거부 방침을 밝히고 "김 교육감이 (후보 추천 철회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김 교육감이 능력과 덕망을 갖춘 지역 교육계 인사를 재추천 하든지, 교육부 인사가 부교육감직을 맡든지 조만간 결론이 날 전망이다.
그러나 김 교육감이 추천한 인사들이 연거푸 제동이 걸린 상황에서 다른 인사를 추천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과 함께 교육부 인사가 부교육감에 임명되지 않겠느냐는 의견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어쨌든 내년 11월 임기만료인 김 교육감은 이번 부교육감 추천 파동으로 구심력이 현저히 이완되는 상황을 피할 수 없게 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 같은 맥락에서 윤봉근 광주시교육위원회 의장과 이정재 전 광주교육대 총장 등 내년 교육감 선거에 출마할 입지자들의 물밑 활동은 더욱 활발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