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광주시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교육감에 관심 있는 일부 교육계 인사들의 물밑 행보가 활발해지고 있다.
김원본 교육감의 임기 만료는 내년 11월이지만, 국회에 계류중인 교육감 직선제 도입을 골자로 한 지방교육자치법 개정안이 올 정기국회에서 통과될 경우 내년 5월 지방선거와 동시에 교육감 선거가 실시되기 때문에 입지자들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전국을 강타한 '광주발(發) 수능부정 행위' 등으로 인해 김원본 교육감의 구심력이 약화돼 일부 교장 등 교육계 인사들의 '특정인사 줄서기'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는 설이 나도는 등 '부작용'도 감지되고 있다.
현재 시 교육계 안팎에서 거론되는 교육감 후보로는 윤봉근(49) 광주시교육위원회 의장과 이정재(59) 전 광주교육대 총장, 윤영월(54.여) 광주서부교육장, 안순일(60) 광주동부교육장 등 4-5명이 거론되고 있다.
이 가운데 가장 적극적으로 물밑 행보를 하고 있는 인사는 윤봉근 의장과 이정재 전 총장.
이와 관련, 전교조 광주지부 사무처장을 역임한 윤 의장은 "광주교육 발전에 열정을 쏟겠다"며 최근 광산구교육발전협의회를 구성하는 등 밑바닥 다지기에 이미 나섰다.
이 전 총장도 대학총장이라는 '중량감' 있는 경력을 내세우면서 학교 인사들과 접촉을 강화하고 있다.
시 교육청 중등교육과장과 광주예술고 교장을 지낸 윤영월 서부교육장은 '작품 기증 특혜' 논란으로 한바탕 곤욕을 치른 가운데 '중등 대표주자'로서 최초의 여성 교육감 자리를 노려볼만 하다며 주변 인사들이 천거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 교육청 초등교육과장과 농성초등학교 교장을 지낸 안 교육장의 경우는 '초등 대표주자'로 주변 인사들이 적극 천거하고 있는 가운데 본인도 "국회에 계류중인 (지방자치교육)법이 어떻게 처리되는가 봐야한다"며 조심스럽게 출마를 타진하고있다.
시 교육청 관계자는 1일 "현 교육감 임기가 1년 남은 상황에서 지방교육자치법의 국회 통과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교육감 입지자들의 행보도 빨라졌다"며 "교육현장이 급속히 선거장으로 변화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