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국제교류재단 초청으로 지난 18일부터 한국을 첫 방문한 중국인 중.고교 교사들은 김치 파동에 대해 질보다는 저렴한 가격만을 앞세운 한국 기업인들의 잘못된 관행을 지적하면서 대응책은 "양국이 잘 협력해서 문제를 해결해 가길 바란다"고 원론적인 수준에서 답했다.
이들은 또 중국의 고구려사 편입문제에 대해서도 "상대방 입장을 존중해 역사와 학술의 문제로 국한시키고 싶다"며 "이 문제로 양국의 관계가 악화되는 것은 원치 않는다"고 말한 뒤 입을 다물었다.
대신 그들은 한국 방문 소감 등에 대해서는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개진했다.
30명의 중.고교 교사들은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배우고, 임진각과 용인 민속촌, 안동 하회마을, 경주, 포항제철 등을 돌아봤으며 27일 돌아간다.
리우 칭강(劉慶剛.35) 상하이(上海)중학교 교사는 "서울과 상하이는 외형적인 면에서 비슷하지만 서울은 국제화가 내면적인 면에서 상당히 이뤄진 것 같다"며 "경주를 돌아보면서 현대화를 추진하면서도 역사적인 유물 등 문화적 관리가 잘 된 것을 보고 매우 놀랐다"고 소감을 말했다.
리우 교사는 "포항제철이 처음부터 환경문제와 발전을 고려했다는 얘기에 충격을 받았다"며 "발전의 깊이가 중국과는 다르다"고 덧붙였다.
첸 유(陳昱.36.여) 로허(潞河)고교 교사는 "한국인들이 너무 친절해 감명받았다 "며 "중국보다 준법정신이 투철한 것 같다"고 밝혔다.
한국 유학생들을 많이 가르치고 있다는 첸 교사는 "한국 학생들이 어떻게 생활했나 늘 궁금했는데 이번에 알게됐다"며 "굉장히 수준 높은 환경에서 공부했음을 알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교사들은 한국 학생들이 학원에 매달리고 공부를 너무 많이 하는 것 같아 청소년기의 건강이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하기도 했다.
그들은 또 학교나 기차역의 화장실 문제는 시급히 개선돼야할 문제라고 꼬집었다.
리우 빈(劉斌.40.여) 충칭(重慶)제1중학교 교사는 "서점을 방문해 한국문화를 제대로 알고 싶었는데 그러지 못한 것이 아쉽다"며 "귀국하면 한국 관련 책과 인터넷을 통해 더 공부를 한 후 학생들에게 교육할 것"이라고 계획을 밝혔다.
리징칭(李定淸.37) 후베이(湖北)성 차이환(楚還)중학교 부주임은 "귀국하면 학생들에게 한국 관련 정치, 경제, 문화 등을 세분화해 국제적인 감각과 다양성을 강조해 교육하겠다"며 "한.중우호에도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도 교사들은 6자회담 등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문제, 남북 분단 상황 등에 대해 "알고는 있지만 자세히 알지 못한다"며 즉답을 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