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교육청이 저출산에 따른 학생수의 감소로 학교 신설 계획을 잇따라 유보하거나 연기하자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10일 경남도교육청에 따르면 최근 2년간 새로 짓기로했던 초등 9곳, 중등 14곳 등 23개 학교에 대한 신설 계획을 유보하거나 연기했다.
이들 가운데 계획 자체를 아예 보류시킨 학교는 창원.통영 등 5개 시군 13곳이며 2010년 이후로 미룬 학교는 김해 등 10곳이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주민들이 열악한 교육환경의 개선을 촉구하는 등 잇따라 반발하고 있다.
2008년 중학교를 개교키로 했다가 보류된 창원 성주동 주민들은 "아파트들이 계속 들어서 학생들이 늘고 있는데도 정작 학교는 없어 원거리 통학을 해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며 불평했다.
이들은 초.중.고등학교 건립 추진을 위한 대책위를 구성, 시와 교육 당국에 민원을 제기했다.
앞서 2천800여가구 9천800여명이 사는 안민동 주민들은 지난 6일 도교육청을 방문, "교육청은 올해로 예정됐던 초등학교와 중학교 개교를 2007년으로 미룬데 이어 일방적으로 2008년 이후로 연기했다"며 학교의 조기 신설을 촉구했다.
통영시 광도면 죽림만의 경우 지난해와 올해 아파트 1천400여가구가 입주, 인구가 지난해 2천994가구 8천430명에서 지난달 말 3천923가구 1만674명으로 크게 늘었다.
여기다 1천700여가구 아파트의 추가 건립으로 5천여명이 더 늘어날 전망인데도 2009년 중학교 신설 계획이 보류되자 주민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이밖에 2009년 개교될 중학교 신설이 유보된 거제 장평지구를 비롯, 도내 아파트가 줄지어 건립되거나 택지개발이 진행되는 신개발지역을 중심으로 학교 신설의 유보.연기에 대한 주민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경남지역은 지난해 말 기준 1.26%의 출산율을 보인 가운데 초등생이 올해 25만7천274명에서 2010년 23만1천44명으로, 중학생이 13만2천949명에서 13만293명으로 각각 10.2%와 2%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해당 지역 주민들은 "교육 당국은 지역 개발에 의해 인구가 계속 유입되는 등 현실을 무시한 채 학교의 신설을 유보.연기하는 무책임한 행정을 펴고 있다"며 교육청의 일방적인 방침을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이에 대해 "출산율 저하에 따른 초.중등 학생의 지속적인 감소 추세로 불가피하게 학교 신설계획을 조정할 수 밖에 없었다"며 "학생 수의 증가세가 두드러질 경우 유보했던 계획을 재고할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