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을 한주 앞두고 아이들과 함께 ‘추석 특집 프로그램’을 계획했다. 송편을 만들고 한복을 입고 절하는 방법을 배우고 추석의 유래와 추석에 관한 여러 가지를 모아 신문을 만들기로 한 것이다.
송편을 만들기 위해 며칠 전부터 아이들과 뒷동산에서 솔잎을 땄다. 솔잎이 항암효과도 뛰어나고 우리 몸에 좋은 각종 좋은 성분이 들어있다며 우리 조상들의 슬기가 음식문화에도 나타나 있다고 아이들에게도 설명해줬다.
송편을 빚을 반죽으로 쌀 다섯 되를 빻고 송편에 넣을 고물은 콩과 밤, 깨 등으로 어머니들께서 준비했다. 아이들은 아침부터 한복을 입고 등교했는데 송편을 만든다는 이유 때문인지 몹시 들떠 보였다.
9시가 되자 아이들은 어머니들의 지도대로 송편을 만들기 시작했는데 설명은 아랑곳하지 않고 자기 마음대로 만드는 아이들이 대부분이었다. 별의별 모양이 다 나왔지만 모두들 신기해하고 자신들이 직접 송편을 만들었다는 기쁨에 젖어 있었다.
어머니들께서 떡을 찌고 계시는 동안 절하는 방법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인터넷을 이용해 남학생과 여학생들에게 각각 큰절, 작은절 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일일이 실습하게 했다. 그리고는 모아온 자료를 가지고 모둠별로 추석 신문을 만들었다.
1시간 후 떡이 익자 드디어 시식을 했다. 모두 자기가 만든 떡을 찾아보겠다고 성화였지만 결국 아무도 찾지 못하고 떡을 먹기 시작한다. 얼마나 맛있게 먹는지 한바탕 난리가 났다.
‘추석 특집 프로그램’이 많은 공부가 됐는지 명절 때 엄마가 하시는 일을 많이 도와드리겠다는 아이, 추석에는 송편을 예쁘게 만들어보겠다는 아이 등 다들 소중한 경험이었다고 입을 모은다. 빚은 송편의 양이 많지 않아서 선생님들께 조금씩 맛보라도 드리고 나니 내가 먹을 것이 없었다. 하지만 송편 찌는 냄새와 아이들이 즐거워하는 모습에 나는 먹은 것보다 더 배가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