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20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기고] 교육의 미래 밝히는 청년 교사들

지금 대한민국 교육 현장은 교권 침해와 과중한 행정,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기 버거운 현실 속에 놓여 있다. 하지만 그 속에서도 아이들의 웃음을 지키고, 교육의 가치를 되살리려는 젊은 교사들이 있다. 바로 한국교총 2030 청년위원회(2030 청년위)를 중심으로 모인 청년 교사들의 연대다. 그들의 용기 있는 실천이 교단 문화를 바꾸고, 교육의 미래를 다시 밝히고 있다.

 

변화 이끄는 2030 청년위

2017년 출범한 2030 청년위는 ‘우리의 목소리가 행동이 되는 곳’이라는 슬로건 아래 청년 교사들이 겪는 현실적 어려움을 함께 나누고, 교육정책과 교직 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실천적 제안과 행동을 이어오고 있다.

 

무엇보다 2030 청년위는 소통과 회복의 공동체다. 전국 각지의 유·초·중·고 교사들이 온·오프라인에서 만나 학교와 교실 속 고민을 나누고, 서로의 수업과 삶을 공유한다. 이 만남은 단순한 친목을 넘어 ‘동료’로서 공감과 지지를 나누는 새로운 교직 문화의 출발점이 되고 있다.

 

또한 젊은 교사의 성장을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2030 공감동감 힐링캠프’, ‘기발한 2030 교사캠프’ 등 교사 스스로를 돌보고 재충전할 수 있는 다양한 연수를 운영한다. 이를 통해 교사의 삶과 수업을 다시 연결하는 시간을 만들어가고 있다. 특히 이러한 캠프는 강의 중심의 기존 연수에서 벗어나 창의적 네트워킹, 아이디어 공유, 자기성찰 프로그램을 결합해 청년 세대의 감성과 필요에 맞춘 새로운 교사 연수 모델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소식을 들은 주변 동료들도 참여 방법을 묻곤 한다.

 

2030 청년위는 정책과 현장을 잇는 다리 역할도 하고 있다. 교권 보호 입법 촉구 릴레이 시위, 교원 행정업무 경감 협의,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정책 간담회 등 청년 교사들의 의견을 모아 직접 행동하며 변화를 이끌어왔다. 그 결과 교권보호법 개정, 학교안전법 내 교원 보호 명문화, 담임·보직수당 인상 등 실질적 성과를 내는데 기여했다. 이렇게 이끈 교단의 변화는 언제나 작은 목소리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보여준 대표적 사례라고 생각한다.

 

이제 교단은 빠르게 변하는 사회의 한가운데 있다. 인공지능(AI)과 디지털 전환, 학생 다양성, 교육 격차 등 새로운 과제 앞에서 교사는 더 유연하고 창의적인 대응을 요구받고 있다. 그 중심에는 언제나 청년 교사들이 있다. 현장의 변화를 가장 가까이에서 느끼고, 새로운 시대의 교육을 가장 먼저 실천하는 세대이기 때문이다.

 

적극적 동참으로 희망 키우자

2030 청년위는 오늘도 ‘교사의 목소리가 교육을 바꾼다’는 신념 아래 한결같은 마음으로 단단한 걸음을 이어간다. 청년 교사들의 연대와 실천이 곧 교단의 희망이며, 그 희망이 모여 우리 교육의 내일을 한층 더 따듯하고 빛나게 밝힐 것이다. 더 많은 청년 교사가 2030 청년위와 함께하길 기대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