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지역교육과 산업 혁신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글로컬대학’에 올해 7개 모델(9개 대학)을 추가 선정했다. 이로써 3년간의 ‘글로컬대학 프로젝트’는 총 27개 모델, 39개 대학 지정으로 마무리됐다.
교육부는 ’지역교육 혁신을 통한 지역인재 양성‘을 추진하기 위해 ’지방대육성법‘ 제17조의 ‘특성화 지방대학’으로 지정하기 위한 지방대 혁신모델 총 7개 모델(9개 대학)을 신규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지난 정권의 ‘글로컬대학’을 잇는 사업으로 올해 마지막 지정 작업이 진행됐다. 이로써 2023년 10개 모델(13개 대학), 2024년 10개 모델(17개 대학)을 포함해 ‘특성화 지방대학’으로 지정되는 대학은 총 27개 모델, 39개 대학이다.
올해 신규 선정 사업에서 가장 눈에 띄는 모델은 충남대·국립공주대의 ‘초광역 통합형’으로, 일약 대전시-공주시-세종시를 아우르는 충남권 최대 대학으로 떠오르게 됐다. 충남권에서는 순천향대·한서대도 포함됐다. 전남권에서는 전남대, 조선대·조선간호대(통합)이 명단에 들었다. 경성대와 제주대도 막차 탑승에 성공했다.
‘특성화 지방대학’으로 지정된 대학들은 제안한 혁신모델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교육부-지자체-대학 간 협약에 따른 재정지원과 규제 특례를 지원받게 된다.
특히 정부는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에 따라 거점국립대를 지역의 과기특성화대학·출연연·지역대학과 5극3특 성장엔진 산업 분야의 ‘특성화 연구대학’이 될 수 있도록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국가중심대와 사립대학은 RISE(지역혁신 대학지원체계)를 통해 지역 산업과 연계한 특성화 대학, 지역혁신 선도대학 역할을 맡는 등 5극3특의 초광역 단위 협업은 물론 지역대학 간 공유·협력을 추진하게 된다.
이의신청 기간은 29일부터 10월 13일까지로, 이에 대한 최종 검토 결과는 10월 중 확정·안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