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이 불볕더위로 가마솥 같다. 서울 낮 최고기온이 연일 35도까지 치솟았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37, 38도를 기록했다. 밤에는 열대야도 계속돼 잠자리에 드는 것이 곤란할 정도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런던에서 오는 소식이었다. 런던 올림픽에 참가한 우리 대한민국 선수단이 기대 이상의 승전보를 보냈다. 모두 대한민국의 대표 선수로 당당히 싸워 세계 속에 한국의 이름을 날렸다. 하지만 이번에 안타까운 소식이 있었다. 정정당당하게 경기에 나가야 하는데, ‘져주기’를 했다는 이야기다. 이유야 어쨌든 져주기는 스포츠 정신을 훼손한 것으로 용서하기 어려운 일이다. 차후에는 이런 실수가 없기를 바란다. 그런데 여기서 ‘져주기’의 표현에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있다. ‘져주기’는 ‘지다’와 ‘주기(주다의 명사형)’가 결합한 단어다. 두 낱말이 결합할 때는 ‘지+어→져’가 된다. 여기에 ‘어’는 본용언과 보조 용언을 이어 주는 연결 어미다. 따라서 ‘져주기’가 바른 표현이다. 우리나라 선수들은 기대 이상의 성적을 거둬 개인적으로 영광의 자리에 오르고 국위를 선양하는 쾌거를 거뒀다. 그러나 한편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컨디션 난조 등으로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 선수들도 있다
2012-08-08 15:31영국 런던에서 열리고 있는 제30회 하계올림픽에서 우리나라는 양궁여자단체전에서 7연패(連覇)의 위업을 달성했고 개인전에서도 남녀 선수가 금·은·동메달을 차지하는 낭보(朗報)는 우연이 아니라고 생각 한다. 남자단체전 4강에 올라온 선수의 감독이 모두 한국인 이었고 40개 양궁 참가국 중 12명의 한국인 감독이 활약하고 있는 것은 영국이 양궁의 종주국임을 무색케 하고 있다. 활을 잘 쏘는 우리나라 양궁선수들을 보면 발해연안에서 동양의 문명을 주도하며 살았던 동이(東夷)족의 후예(後裔)임이 분명한 것 같다. 이(夷)자를 파자하면 大 +弓(활에 화살을 합쳐 형상화)한 글자인데 설문해자에 오랑캐 이(夷)자(중국의 변방사람)로 되어있는 것은 잘못된 것으로 큰활 이(夷)로 바로잡아 가르쳐야 한다. 은나라 갑골문에 나오는 동이(東夷)는 활을 잘 쏘는 민족으로 명판(明板)에 “夷人不盜”라 했고 夷는 仁也, 大也, 居也라 했다. 동이(東夷)는 君子 不死之國이라고 하여 우리민족은 동이(東夷)족의 피가 흐르고 있음을 올림픽을 통해 다시 한 번 증명해주고 있다. 원래 활은 구석기시대 후반에 인간의 생활 수단으로 개발되었던 무기로 사냥과 전쟁에 사용되어 왔다. 활은 한민족에게는 가장
2012-08-06 16:51漢字속에 숨은 이야기 (14) 글자가 있기 이전에 말이 있었는데 민족마다 구구전승(口口傳承)하는 전설이나 신화가 있었다. 해에는 『日中有金烏』 다리가 셋 달린 금 까마귀가 있어서 날개를 펴면 날개의 금빛이 반사하여 해가 밝게 빛나는 것이라는 전설이 있었다. 금 까마귀를 점과 새을(乙)자로 표시하여 지금의 날일(日)자 된 것이다. 일(日)자가 둥글지 않은 것은 갑골문 같은 단단한 뼈에 새기려니 모가 난 형태로 된 것이다. 달월(月)자는 해와 구분하기 쉽게 달이 기울었을 때의 모양을 살렸다고 한다. 『月中有玉兎』라는 전설이 있어 달 속에 옥토끼가 떡방아를 찧고 있다는 전설이 전해져 왔다. 달 속에 토끼의 모습을 부호로 그려놓은 것이 월(月)자로 변화하였고 해서(楷書)체에는 월(月)자의 가운데 두 획은 오른쪽 획과 닿지 않게 쓰는 것이 맞다고 한다.
2012-08-06 16:51띄어쓰기는 글을 쓸 때 내용 이해를 쉽게 하고 뜻 전달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 의미 단위를 벌려 쓰는 것이다. 우리말에서 띄어쓰기는 ‘한글 맞춤법’에 띄어쓰기 규정을 따로 두고 있다. ‘한글 맞춤법’ 제5장 띄어쓰기 규정에는 ‘제1절 조사, 제2절 의존 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와 열거하는 말, 제3절 보조 용언, 제4절 고유 명사 및 전문 용어’ 분류를 하고, 41항에서 50항까지 세부 규칙을 설명하고 있다. 이 중에 고유 명사 규정은 헷갈리는데, 특히 ‘대왕(大王)’과 ‘왕(王)’이 그렇다. 고유어와 한자어에 ‘대왕(大王)’, ‘여왕(女王)’, ‘거서간’, ‘차차웅’, ‘마립간’ 등이 붙을 경우에는 띄어 쓰고, ‘왕(王)’이 붙을 경우에는 붙여 쓴다. 정리하면 ‘정조 대왕/동명 성왕/세종 대왕/광개토 대왕/선덕 여왕/내물 마립간’이라고 표기하고, ‘공민왕/의자왕/영친왕’으로 표기한다. 고유어, 한자어에 ‘왕’이 붙는 경우는 붙여 쓰지만, 외래어에 붙을 경우에는 ‘히에론 왕/쿠푸 왕’처럼 ‘왕(王)’도 띄어 쓴다. 낱낱의 특정한 사물이나 사람을 다른 것과 구별하여 부르기 위하여 고유의 기호를 붙인 이름을 고유 명사라고 한다. 한글 맞춤법 48항은 고유 명
2012-08-06 16:49
교육과학기술부는 학생들의 정서 함양과 스포츠 정신 발휘, 학교폭력 예방 대책으로 학교 체육 활성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광양여중(교장 김광섭)은 여학생들의 스프츠 활성화를 위해 여름방학을 맞이하여 지역사회의 시설을 이용하여 일상적으로 경험하기 어려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스포츠 특강을 마련하였다. 평소 학교 안에서 할 수 없었던 체육 수업이 많다. 이에 여름방학 더위를 이겨내고 스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실내에서 할 수 있는 스케이트와 볼링반을 개설해 운영한 것이다.7월 24일 첫 수업은 광양국제빙상장에서 스케이트 수업을 시작으로 볼링 수업 등 8월 2일까지 진행하였다. 이번 수업에 참여한 2학년 박송이 학생은 "평소에 학교에서 체험하기 어려운 스케이트를 배울 수 있고, 무더운 여름을 얼음판인 빙상장에서 보낼 수 있게 되어 마음 뿌듯하며, 내년 여름에도 이같은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더 많은 학생들이 참여하면 좋겠다."며 즐거운 표정으로 가득 찼다. 이프로그램을 진행한 지도교사 이선례 체육부장은 "여러 학생들과 함께 호흡하면서 여름 방학을 함께 할 수 있어 좋았으며, 학생들에게는 평소 접하기 어려운 종목이기에 매우 의미있는 체육 수업이 아니겠는가."라면서 평
2012-08-03 15:59요즈음 TV 뉴스를 보면 런던 올림픽 소식으로 열기가 달아올라 있으며, 국내적으로는 대선에 관한 이야기가 대부분이다. 그만큼 우리에게 국가 CEO, 대통령을 뽑는 작업이 중요하다는 징표일 것이다. 여야를 막론하고 대선 후보로 나선 숫자가 제법 많아 누가 누구인지 구분하기 어려우며, 저마다 각기 다른 개성을 지니고 있어 이를 지켜보는 국민은 누굴 찍어야 할지 헷갈린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누가 이 나라를 이끌어 갈 적임자인가를 눈여겨 보면서 선택할 수 있는 안목을 가져야 하는 것이 국민의 몫이다. 그래서 언론은 올림픽 메달 개수 못지않게 정확한 정보가 국민에게 전달되도록 분발을 해야 한다. 전 세계가 위기다. 마찬가지로 한국도 당면한 고령화, 가계부채, 양극화와 일자리 남북 분단 문제 등을 생각하면 한국도 예외는 아닌 것 같다. 유럽의 위기를 보면서 결코 남의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이다. 특히 경제문제는 더욱 그러하다. 세계 경제가 동반 침체하는 바람에 수출의 둔화는 불을 보는 듯 뻔하다. 외환위기 때엔 그래도 선진국 경기가 좋았다. 그런데 지금은 미국과 유럽이 함께 주저 앉은데다 중국을 포함한 신흥국들의 성장 엔진이 식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빚더미에 숨막힌…
2012-08-02 10:56
요새는 자꾸 마음이 산란해진다. 10대 적에 시가 좋아서 대학노트 가득 시를 써보던 이래 수십 년간 시를 아주 놓지 못하고 지내왔는데, 그 결과가 지금의 나라고 생각하니 허탈한 마음을 달랠 길 없다. 바쁜 직장 생활 틈틈이 글을 써서 8권의 시집과 2권의 수필집을 냈으면서도 나는 여전히 아마추어 수준에 머물러 있다. 종종 시인의 이름표를 떼고 싶은 생각이 든다. 이유가 무엇인가? 여러 가지 있을 수 있지만, 내 작품의 작품성이 떨어지는 데 주된 원인이 있다. 객관적 평가를 받지 않고 스스로 자신의 작품에 도취하여 작품집을 내는 데만 열중한 것 같다. 문학에도 '스펙 쌓기'가 중요하다는 걸 근래 나는 절실하게 깨닫고 있다. 대학도 명문대가 있어서 사회의 평판이 다른 것처럼 문학에도 좋은 문예지나 신춘문예 같은 권위 있는 매체를 통해 등단했다면 내 문학도 일취월장 발전했을지도 모른다. 나를 보는 독자나 문단의 시선도 다를 것이다. 이러한 점에 나는 소홀했다. 또 한 가지는 시 공부를 소홀히 했다는 점이다. 시도 예술이라면 거기에 합당한 내용과 형식이 있고 시창작의 기본요령도 있을 것이다. 수많은 문예창작 강사들은 그 분야에 연륜을 쌓아 상당한 '노하우'를 갖고…
2012-08-02 10:53漢字속에 숨은 이야기 (13) 한자(漢字)를 만든 사람들은 손의 기능을 단순화하여 글자를 상형화(象形化)하였다. 좌에 공(工)을 우(右)에 구(口)를 빼면 똑같은 획이 남는다. 이것은 손을 형상화 한 것인데 변화를 거쳐 지금처럼 쓰기 편하게 변형되어 사용하고 있다. 대장장이(冶工)가 연장을 만들 때 오른손은 망치질만 하는데 비해 좋은 도구를 만드는 것은 왼손의 놀림에 의해 결정되므로 왼손에 공(工)자를 붙여서 좌(左)자를 만들었다. 오른손으로 수저를 사용하여 음식을 입에 넣으므로 입구(口)자를 붙여서 우(右)자를 만들었다. 많은 사람이 잘 모르고 있는 것이 있는데 손을 상징하는 획의 글씨를 쓸 때는 좌(左)자는 삐침을 길게 써야하고 우(右)자는 가로 획을 길게 써야 정확하게 쓰는 것임을 알았으면 한다.
2012-08-02 10:51
가정여자중(교장 장인섭) 驚天動地팀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12년 대한민국 창의력 챔피언대회에서 금상을 수상하였다. 지난 7월26일부터 3일간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대한민국 창의력챔피언대회는 전국 각 시도에서 선발된 100팀이 참여하여, 도전과제별로 각 시도에서 선발된 팀들이 팀원의 협력으로 과학적 해결력과 창의력을 겨루는 비공개과제와 공개과제를 해결하였다. 가정여중 1학년 7명으로 구성된 驚天動地팀은 도전과제2의 공개과제인 수륙양육 자동차를 재활용품을 이용하여 가볍게 제작하여 육지-물-육지까지 힘 있게 이동하는 것을 성공하였다. 대한민국 창의력챔피언대회는 학생들의 과학적 창의력 뿐 아니라 팀원의 협동심 및 배려, 봉사정신 등까지 채점에 포함되었다. 가정여중 경천동지팀은 김은빈, 박혜림, 이가원, 정효진, 황고은, 문수연, 백지연 학생으로 구성하여 아름다운 것을 자연으로 선택하고 인간이 자연을 파괴하면 그 피해가 다시 인간으로 되돌아오는 나비효과를 표현하여 좋은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2012년 대한민국 창의력 챔피언대회 전국대회는 청소년들에게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길러줌으로써 21세기 지식기반사회를 선도할 인재를 육성할 목적으로 특허청과 삼성전자가
2012-08-02 10:49‘못하다’는 하나의 단어로 쓰기도 하지만, ‘못 하다’라고 구로 쓰기도 한다. 어떨 때 이렇게 써야 할까. ○ 런던 올림픽 경기를 시청 하느냐 잠을 이루지 못하였다. ○ 나는 국문과 교수가 되기를 원했으나 꿈을 이루지 못하였다. ○ 어릴 때부터 가수의 꿈을 키웠지만 부모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예문에서 보듯, ‘못하다’는 어떤 일을 일정한 수준에 못 미치게 하거나, 그 일을 할 능력이 없다는 뜻으로 쓴다. 화자나 문장 속의 의미상 주체가 어떤 일을 성취하지 못하거나 능력이 없는 상황을 표현한다. ‘노래를 못하다. 술을 못하다.’ 등의 타동사도 마찬가지다. 음치이기 때문에 노래를 못하거나, 체질이 맞지 않아 술을 못하는 것이다. 이와 달리 ‘하다’라는 동사에 ‘못’이라는 부사를 써서 ‘못 하다’라는 문장 구성을 할 때가 있다. ○ 밤새워 올림픽 중계를 보느냐 숙제를 못 했다. ○ 연습을 많이 못 했다. ○ 물놀이를 못 했다. ‘못’이라는 부사는 주로 동사 앞에 쓰여,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을 할 수 없다거나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부정의 뜻을 나타낸다. 이는 ‘~하지 못하다’로 대체 가능하다. 실력과 상관없이 행위를 제대로 못 한 것이다. 다시 말해
2012-08-02 1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