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심사평> 살아가며 발견한 삶의 진리, 깨달음의 흔적 담아야
우선 응모된 시의 양에 대해서, 응모한 분들의 신분의 다양성에 대해서 놀라운 느낌을 받았다. 현직 교사가 있는가 하면 전문직, 교육행정직에 걸쳐 넓은 분포를 보였다. 이것은 그만큼 이 행사가 교단현장의 호응을 많이 받았다는 좋은 증거가 될 것이다. 시를 봄에 있어서 심사자들은 작품성과 교육성 두 가지 충분조건을 전제로 하였다. 상당수준에 오른 작품도 있었지만 더러는 시가 되기에는 많이 모자란 문장들도 보였다. 그러나 몇몇 작품은 우열을 판정하기 어려운 작품도 있었다. 심장근의 '잘못된 길도 아름답다·99'와 우대식의 '봄'이 그런 작품이었다. 그러나 이 작품상이 교단문학상이란 간판이 걸린 만큼 전자를 취하기로 했다. 물론 후자는 작품성이 탁월하여 가작으로라도 해볼까했으나 그것이 오히려 작가의 자존심을 상하게 할 것 같아 아예 접기로 했다. 가작으로 뽑힌 세분의 작품(이종윤, 권순인, 권희정)도 매우 아름다웠다. 특히 권순인의 '황금마타리와 개당귀'는 섬세한 마음의 그림과 울림이 오래 기억에 남아 어른거렸다. 응모하신 분들께 한마디 고언을 드린다면 시가 왜 시이어야만 하는가에 대한 자기성찰이 있어야겠다는 점이다. 시는 살아가면서 발견하게 되는 가장 귀한 삶의
- 정진규 고려대교수, 나태주 충남공주왕흥초등교장
- 2000-01-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