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의 의사> ⑥척추 디스크
자세를 바르게 하고 틈틈이 자세 교정 스트레칭을 해줌으로서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양다리를 약간 벌리고 한발을 앞으로 내디딘 ‘사진사 자세’를 습관화하고 설명할 때는 학생을 정면으로 바라보고 한다. 정년퇴직을 제외하고, 사람이 살아가면서 일을 손에서 놓는 때란 언제일까? 바로 건강을 잃었을 때다. 꼭 생사의 문제가 아니더라도, 스트레스로 마음이 어지럽다거나, 세월이 쌓은 각종 통증으로 괴로울 때가 그러할 것이다. 그러나 교사와 학생은 판서를 할 수 없을 만큼, 앉아 있기 고통스러울 정도로 허리 통증이 심해도 수능이 끝나기 전까지는 손에서 책을 놓을 수가 없을 것이다. 사람이 서 있는 순간 척추가 받는 하중은 자신의 몸무게 만큼이다. 그런데, 교사가 판서를 하려고 팔을 올리면 그 하중은 열 배로 껑충 뛴다. 거기다 학생들에게로 몸을 틀면 짓눌린 디스크는 비틀림의 압력을 이기지 못해 불쑥 뼈 밖으로 탈출, 심지어는 터져 버리고 만다. 탈출한 디스크가 주위 신경을 눌러 요통과 다리 저림을 불러오는 것은 정해진 수순. 앉아 있는 학생도 다를 바 없다. 척추는 똑바로 앉는다고 해도 제 몸무게의 2배에 달하는 하중을 받는다. 하지만 허리는 점차 수그러져, 하중은 금
- 심우진 자생한방병원 척추디스크 크리닉 과장
- 2004-06-25 1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