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 선거가 한 달여 앞으로 다가왔다. 어떤 지역에서는 난립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각 시․도에서 교육감 후보로 거론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유권자들 사이에서는 교육감 후보자로 거론되고 있는 인물들에 대한 하마평이 무성하다. 유권자들은 한편으로는 공직에 종사하려는 인재 풀이 넓다는데 대해 다행스럽게 생각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후보자로 거론되는 사람들이 과연 교육감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고 있는지에 대해 의구심을 갖고 있다. 교육감 직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자리가 아니기 때문이다. 예산·인사권 쥔 최고책임자 교육감은 유·초·중등교육과 평생교육 등에 관한 중요한 사항을 관장하는 지방교육의 최고책임자다. 해당 지역의 교육에 대해 국가정책과 정합성을 유지하면서 어떤 방향으로 이끌어 갈지를 결정한다. 수천억에서부터 수조원에 이르는 교육예산을 편성하고 집행하며 수많은 유치원과 초·중등교원의 전보·승진 등의 인사권을 행사한다. 학교를 폐교할 것인지 유지할 것인지, 어떤 종류의 학교 설립을 허가할 것인지, 어디에 학교를 지을 것인지를 결정한다. 교육감 직은 이렇게 중요하다. 특정의 전문적 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만이 할 수 있다. 교육감은 창조적 정책가로서
새 학년도가 시작되는 3월은 학교운영위원을 선출하는 시기이다. 학교 구성 주체들은 학운위원을 ‘제대로’ 선출해야 한다. ‘제대로’ 학운위원을 뽑는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두 측면에서 그 의미를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학운위원으로서 역할 수행능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선출해야 한다는 것이다. 어떤 제도이든지 간에, 그것은 요새(要塞)와 같아서 잘 짜여 지고 각기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들이 적절하게 배치돼야만 성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학운위원을 뽑을 때 적법한 선출절차를 준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단위학교 학운위 구성에 관한 규정들을 준수해 학운위원을 선출해야만 학교 구성원들로부터 선출의 정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선출과정의 정당성을 의심받는 학운위는 제대로 기능할 수가 없다. 그렇다면 ‘누구를’ 학운위원으로 뽑을 것인가? 법령에 규정된 학운위원이 될 수 없는 자, 또는 당연히 퇴직해야 하는 조건 등을 위반하지 않는 범위의 소극적인 관점보다는 학운위원으로서 ‘적합한’ 사람이 누구인가라는 보다 적극적인 관점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교원위원이든, 학부모위원이든, 지역위원이든지 간에 학운위 제도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사람을 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