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학교, 미래 교실을 가다> 학교, 사회의 학습 소통 공간이 되다
미래학교 “삶이 곧 학습…학생 뿐 아니라 개인의 생애 설계하는 곳” 미래교실 “과목, 학생수…그 어떤 환경도 가능한적응력 높은 교실” 미래교사 “학생 학습 경험 디자인하고발전하도록 컨설팅하는 생애 멘토” 시대가 바뀌고, 기술이 발전해가면서 ‘학교’는 많은 변화의 요구 속에 있습니다. 변화의 물결 속에서 학교와 교육의 가치, 역할도 변화하겠지만 학교의 외형적인 모습이나 시설도 큰 변화가 예고되고 있습니다. 과연 미래 사회에서 학교는 어떤 의미이고, 어떤 모습일까요? 한국교육신문 창간 50주년을 맞아 특집 ‘미래학교, 미래 교실을 가다’를 준비했습니다. 이번 특집으로 다가올 미래의 학교 모습을 그려보는 계기가 되시길 바랍니다. “19세기 교실에서 20세기 교사가 21세기 학생들을 가르친다”는 말이 있듯이 학교는 빠른 사회의 변화에도 가장 보수적이며 변화하지 않는 지식 전수의 기관으로 우리 곁에 머물러왔다. 그럼에도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기술, 태생적으로 디지털매체에 익숙한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태어나면서부터 디지털 환경을 생활처럼 사용하는 세대)들의 사회 진출, 인구구조의 고령화와 학령인구 감소, 세계화와 개방화, 다문화, 에너지 등 다양
- 계보경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정책연구부 선임연구원
- 2011-05-09 1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