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시험 출제․관리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9일 오전 홈페이지(www.kice.re.kr)를 통해 지난 17일 치러진 2005학년도 수능시험 정답에 ‘오류는 없다’고 공표했다.
평가원 관계자는 "수능시험 직후부터 21일까지 닷새 동안 ‘정답 또는 문제 자체에 오류가 있다’고 이의 제기된 모든 문항을 심사했으나 당초 발표한 문제 및 정답에 이상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평가원은 이의신청 기간에 등록된 609건 가운데 문제․정답 이의신청으로 분류된 493건, 120개 문항 중에서 29개 문항에 대한 상세한 ‘심사 결과 및 정답 해설'도 함께 게재했다.
설명이 곁들여진 문항은 언어 4개와 수리 6개, 외국어 3개, 사회탐구 6개, 과학탐구 9개, 직업탐구 1개이다.
이의신청이 가장 많았던 언어영역 홀수형 ‘11번'에 대해서는 "문학작품의 ‘바꿔쓰기’는 곧 문학의 ‘창조적 재구성’을 달리 이르는 말"이라며 "정답인 ⑤번은 ‘주제를 강조하기 위한 이야기 추가하기’인 반면 일부에서 복수정답이라고 주장한 ④번은 ‘형식적 측면에서의 바꿔쓰기’"라고 설명했다.
수리 ‘가’형 ‘8번’(홀․짝형 동일)의 연속함수 문항에 대해 "<보기>의 ‘ㄷ’은 등호(=)가 없는 게 맞다"는 이의제기가 쏟아졌으나 평가원은 "예컨대 ‘3은 2보다 크거나 같다’는 명제는 참이므로 정답에 오류가 없다"고 강조했다.
‘두 주사위를 동시에 던질 때 한 주사위 눈이 다른 주사위 눈의 배수일 확률’을 묻는 수리 ‘나’형 ‘29번’(홀․짝형 동일)에 대해서도 "두 주사위의 색깔이나 크기 등이 다르다는 전제가 없다"는 주장이 나왔으나 "‘두 주사위를 던진다’는 표현은 각각의 근원사건이 발생할 가능성이 같은 정도로 기대되는 상황으로 만들기 위해 일반적으로 두 주사위가 구분되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일축했다.
외국어(영어) 듣기평가 ‘2번’ 정답에 대한 반론에도 평가원 설명이 더해졌다.
이의를 제기한 교사․수험생은 "어떤 여자가 남자에게 잘 해주고 싶은 의도로 남자가 매우 좋아하는 중국음식을 애써 사가려고 하는데 남자가 벌써 다 준비해놨다고 알려주는 상황에서 여자의 심정은 일을 덜어줘서 기쁠(pleased) 수도 있지만 계획이 무효화된 점을 감안하면 실망스러울(frustrated)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평가원은 "대화 어느 부분에서도 여자가 문제 해결책을 찾지 못하거나 성취감을 얻지 못해 분노나 좌절감을 느낀다는 점을 보여주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사회탐구에서는 사회문화 ‘20번’에 대한 논쟁이 가장 뜨거웠었다.
교육정도별 상대적 임금수준 추이를 나타내는 도표를 제시한 뒤 이에 대한 옳은 설명을 고르라는 문제에서 정답으로 제시되지 않은 <보기> ‘ㄷ’ 의 "대졸 이상 집단의 임금은 1980년에서 2000년 사이에 60%로 줄어들었다"는 것도 맞는 설명이라는 게 수험생 등의 주장이었다.
평가원은 "<표>는 고졸 집단의 임금에 대한 상대적 수치로 ‘매 조사연도 사이의 고졸 임금상승률은 0보다 크다’는 등의 전제가 있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