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02 (월)

  • 구름많음동두천 11.8℃
  • 흐림강릉 14.8℃
  • 박무서울 12.3℃
  • 대전 14.4℃
  • 맑음대구 18.5℃
  • 맑음울산 18.1℃
  • 맑음광주 16.9℃
  • 맑음부산 18.5℃
  • 구름조금고창 15.4℃
  • 맑음제주 19.3℃
  • 구름많음강화 9.4℃
  • 구름많음보은 14.3℃
  • 구름많음금산 15.1℃
  • 맑음강진군 17.8℃
  • 맑음경주시 18.6℃
  • 맑음거제 16.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칼럼] 결핍의 결핍

01

살기가 너무 어렵던 시절이 멀리 있지는 않았다. 내 어릴 적에는 춘궁기에 밥을 못 먹는 사람들이 마을에 더러더러 있었다. 거지들이 집마다 찾아와 밥 한술을 달라고 깡통을 내밀던 장면도 흔하게 있었다. 소꿉놀이하면 으레 밥 구걸하러 오는 거지 장면이 있었다. 일상에서 늘 겪는 결핍과 가난의 생태이었으므로 아이들 소꿉놀이도 그런 현실을 반영했다.

 

무슨 연관이 있는 것일까. 그 시절은 국가의 계몽이 과도하던 시절이기도 했다. 국가가 하향의 (Top-down) 방식으로 국민을 계몽하고자 하는 나라, 그래서 구호가 넘쳐나는 나라, 이는 대개 근대에서 볼 수 있었던 나라의 모습이다. 계몽은 가난과 무지에서 그 세를 떨친다. 그런 나라일수록 민주주의는 제대로 꽃을 피울 수 없고, 민주주의가 피지 못하는 근저에는 백성의 궁핍과 가난이 일상에 널려 있기 때문이다. 가난 구제를 팽개쳐 두고 민주주의를 피운 나라는 없다. 그런 시절이 그렇게 멀리 있지는 않았다.

 

계몽의 범람은 흉패 달기에서 나타났다. 그 무렵 학교에 다닐 때는, 무언가를 적은 헝겊 표장을 수시로 가슴에 달고 다니게 했다. 마치 어버이날에 부모님 가슴에 ‘부모님 감사합니다’ 하는 패를 달아드리는 것과 같이, 학생들은 무언가를 가슴에 차고 다녀야 했다. 패에는 대개 ‘불조심 강조 기간’, ‘산림녹화 강조 기간’, ‘충효의 달’, ‘근면 자조 협동’, ‘잊지 말자 6·25’ 등 국가가 강조하는 계몽 구호를 적었다. 인구 증가율이 4%를 넘어서, 나라는 궁핍한데, 장차 먹고 살 일이 국가적 걱정이었을 때는, 마을 부녀회를 중심으로 ‘둘만 낳아 잘 기르자’라는 패를 착용하기도 했다. 대개는 집에 있는 무명천을 오려서 그 위에 붓으로 써서 가슴에 달았다.

 

무슨 뜻인지도 모르고 달고 다니던 패가 있었다. 그것은 ‘내핍생활을 하자’라는 구호가 적힌 패였다. 여러 해에 걸쳐서 수시로 가슴에 부착하였지만, 이 구호가 얼른 들어오지 않았던 것은 ‘내핍(耐乏)’이라는 말이 어려웠던 탓이다. ‘내(耐)’는 참는다, 견딘다는 뜻의 한자이다. ‘핍(乏)’은 부족하다, 가난하다, 고달프다 등의 뜻을 지닌 한자이다. 결핍과 고달픔을 참으라는 뜻 아닌가. 결핍밖에는 없는 세상인데, 그 결핍을 무엇으로 메꾼단 말인가. 국가가 백성들 가슴에 패를 달게 하면서까지 내핍을 강조하지 않아도, 내핍하지 않을 수 없었다. 뾰족한 수가 없는데, 참아야지, 어떻게 하겠는가. 나라가 온통 굶는 사태에 처한 북한이 일찍이 ‘고난의 행군’이니, ‘우리식 사회주의’니 하는 구호에 기대었던 분위기와 흡사했다고나 할까.

 

학교 선생님은 이 ‘내핍’을 글자로 풀어 설명해 주기보다는 그냥 ‘물자를 아껴서 쓰자’라는 뜻으로 풀이해 주셨다. 어린 마음에도 아껴 쓸 물자가 있어야 아껴 쓰지, 하는 생각이 여러 번 들었다. 글자 뜻대로 ‘가난을 참자’라고 하기에는 오히려 체념의 분위기만 도드라질 수 있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물론 ‘내핍’에는 ‘극복과 의지’를 강조하는 의지가 안으로 숨어 있다. 우리도 한번 ‘잘살아 보자’라는 의욕을 전제로 할 때, ‘내핍’은 사회적 동의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니 지금은 ‘결핍을 참자’, 잘 사는 미래를 내다보며 지금은 내핍하자. 이렇게 강조했던 것 같다.

 

02

가난과 결핍을 백성 모두가 겪었던 세월이 있어서, 그래서 ‘결핍(궁핍)’이 문화적 유전자가 된 것일까. 사는 것에 대한 평가기준도 ‘가난과 결핍’ 위주로 인식하였다. 잘 사는 집은 곧 ‘부잣집’이고, 못 사는 집은 곧 ‘가난한 집’으로, 생각하는 통념이 지배한다. 부자일지라도 그 인생을 잘못 사는 사람이 있고, 가난해도 자기 삶을 잘 살아서 마음의 행복과 자존을 누리는 사람이 있다. 산다는 것이 무엇인가. 이 물음은 언제나 간단치 않다. 이것처럼 철학적인 물음이 또 어디에 있을까. 뭐가 잘 못 산다는 건데? 진지하게 물으면, 누구도 답하기 어렵다. 그것은 인생의 본질과 가치를 묻는, 매우 깊숙하고도 무한대로 큰 물음이기 때문이다.

 

결핍을 영어로는 ‘want’라 한다. want는 ‘원하다’라는 뜻 아닌가. 무엇을 원하는가. 결핍된 것 즉, 지금 내가 갖고 있지 못한 것을 원한다. 그것을 채우려고 나를 움직이게 하는 것, 그것이 ‘want(원하다)’라는 동사이다. want라는 동사를 명사로 쓰면 ‘결핍’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결핍은 해소되지 않는다, 왜? 우리 마음 안에서 원하는 것이 모두 충족되어야 비로소 결핍도 사라지는 법인데,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충족되었다고 생각하는 그 즉시, 그때까지는 보이지 않았던 다른 결핍들이 득달같이 달려든다. 이걸 우리는 ‘욕망(want)’이라고 부른다. 그러니까, ‘결핍’과 ‘욕망’은 같은 말이다. 매우 가까이 있는 유의어이다.

 

그 지독한 가난을 벗어난다고 해서 결핍은 우리 곁을 떠나지 않는다. 오히려 결핍은 눈덩이처럼 더 불어난다. 처음에는 물자의 부족만 결핍으로 쳤는데, 나중에는 권력의 결핍, 명예의 결핍, 건강의 결핍 등도 모두 욕망의 대상이 되었다. 그냥 내가 아예 없어서 그걸 갖고자 욕망을 가진다면, 그럴 수 있다. 자동차가 있음에도 옆 사람이 가진 더 좋은 자동차를 못 가지면, 더 견딜 수 없는 결핍감에 빠진다. 이를 두고 자본이 부추기는 왜곡된 욕망이라고 했던가.

 

현대인들은 자신의 결핍을 곧 자기의 약점으로 여긴다. 약점을 숨기기 위해서, 결핍함에도 결핍하지 않은 것처럼 보이려 한다. 이렇게 될수록 욕망은 더욱 맹목적으로 팽창한다. 마음 안으로는 불행감이 들어와 마음을 점거한다. 결핍한 가운데도 (인생의 내면을) 잘 가꾸며 사는 경지란 알 수도 없고, 찾아가지도 못한다.

 

03

결핍은 몹쓸 것인가. 결론부터 말하면 그렇지 않다. 인생의 총체로 보면 결핍이 우리를 보이지 않게 돕는다는 것을, 인류의 묵시적 지혜들이 보여준다. 명나라 초의 이름난 선승인 묘협(妙叶)이 지었다는 <보왕삼매론(寶王三昧論)>도 그런 암시를 준다. 이는 단순히 청렴결백을 윤리 규범으로 강조하는 것과는 차원이 좀 다르다. 몇 개의 예를 들어본다.

 

“세상살이에 곤란함이 없기를 바라지 말라. 세상살이에 곤란함이 없으면, 남을 업신여기는 마음과 사치한 마음이 생기게 된다.” 형통함이 온전한 것이라면 곤란함은 결핍에 해당하지 않겠는가. 결핍에도 복이 숨어 있다는 것이다. 또 말한다. “몸에 병이 없기를 바라지 말라. 몸에 병이 없으면 탐욕이 생기기 쉽다.” 건강함이 온전한 것이라면 병이 있는 것은 결핍이다. 그 결핍이 탐욕으로부터 나를 지키게 한다니, 결핍의 미덕을 보게 한다. 또 이렇게도 말한다. “남이 내 뜻대로 순종해 주기를 바라지 말라. 남이 내 뜻대로 순종해 주면 마음이 저절로 교만해진다.” 남이 나를 순종하면, 내 지도력(leadership)이 온전한 것인데, 남이 나를 잘 따라오지 않는 것은 내 지도력의 결핍이다. 그런데 그 결핍이 나의 교만을 막아 준다지 않는가.

 

옛날 불교 수행자들에게 한 말씀이니 현대에서는 지키기 힘들다고 할 것인가. 그럴 수도 있겠다. 그러나 결핍을 사랑하는 마음이 모종의 힘을 가진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다. 예수의 사도이었던 바울은 자신의 결핍(약함)을 비방하는 자들에게, 달리 방어하지 않고, 이렇게 말한다. “나는 나의 약함을 자랑하노라.”(고린도후서 11장) 내 결핍은 신이 주신 은혜라는 믿음이 돋보인다. 그 경지가 부러울 뿐이다.

 

인터넷에서 나도는 플라톤의 행복론(원래의 출전은 찾지를 못했음)이라는 것이 우리에게는 현실적으로 조금 더 와 닿는다. ‘행복론’이라 했지만 나는 이것이야말로 ‘결핍론’이라 부름이 마땅하다고 본다. 첫째는 기대하는 의식주 생활수준에서 조금 부족한 듯한 ‘재산’에 만족하라고 한다. 둘째는 모든 사람이 칭찬하기에 약간 부족한 ‘용모’를 권한다. 셋째는 세상이 다 알아주는 명예를 구하지 말고, 그저 내 아는 사람들의 절반 정도밖에 알아주지 않는 ‘명예’면 된다는 것이다. 넷째는 겨루어서 한 사람에게 이기고 두 사람에게 질 정도의 ‘체력’으로 만족하라는 것이고, 끝으로 연설을 듣고서 청중의 절반은 손뼉을 치지 않는, 그런 정도의 ‘말솜씨’면 된다는 것이다.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그래야 한다는 것이다.

 

요컨대 적절한 결핍을 추구할 것을 강조한다. 인터넷 공간에서 이 행복론이 널리 퍼지는 것은 ‘결핍에 미덕이 있음’을 사람들이 공감한다는 뜻이리라. 자본과 욕망 만능의 시대인 것 같아도, 세상이 다 그렇게만 돌아가지는 않는다.

 

결핍의 미덕을 알겠다. 미덕이 되는 결핍이 있음도 알겠다. 다시금 곰곰이 생각해 보매, 우리에게 결핍한 것 가운데, 이런 ‘미덕이 되는 결핍’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구나. 그래서 ‘결핍의 결핍’을 화두로 내어놓는다. 언뜻 들으면 극심한 결핍을 강조한 표현 같기도 하고, 결핍을 부정하는 말 같기도 하다. 결핍이 결핍하니(없으니) 풍성함을 나타내는 수사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런저런 의미의 혼돈을 다 겪고서, 진정한 ‘결핍의 결핍’에 우리 마음의 눈이 가닿았으면 좋겠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