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06 (금)

  • 맑음동두천 4.5℃
  • 맑음강릉 8.7℃
  • 맑음서울 5.2℃
  • 맑음대전 7.6℃
  • 구름많음대구 8.9℃
  • 구름많음울산 8.9℃
  • 맑음광주 9.0℃
  • 구름많음부산 9.6℃
  • 구름조금고창 8.0℃
  • 흐림제주 12.7℃
  • 맑음강화 3.4℃
  • 맑음보은 6.4℃
  • 구름조금금산 7.1℃
  • 구름많음강진군 11.0℃
  • 구름많음경주시 9.4℃
  • 구름많음거제 10.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라이프

남녘은 지금 ‘동백꽃 필 무렵’

 

윤대녕의 중편소설 <천지간(天地間)>은 생면부지 여자를 뒤따르는, 그것도 폭설이 내리는 길을 세 시간 넘게 걸어 뒤따라가는 것으로 시작하고 있다. 주인공이 문상가는 길에 광주(光州)터미널에서 만난 여자의 얼굴에 드리워진 죽음의 그림자 때문이었다.

 

여자가 이른 곳은 전남 완도군 구계등(九階嶝)이었다. 파도에 밀려 자갈밭이 아홉 계단을 이루었다고 구계등이라는 이름이 붙은 곳이다. 활 모양의 자갈밭으로 이루어진 해안선, 그 뒤로 병풍처럼 둘러 있는 상록수 방풍림에 동백나무들이 있었다. 소설은 구계등과 인근 여관을 겸한 횟집을 배경으로, 삶을 버리려는 여자와 이를 막으려는 남자 이야기를 담고 있다.

 

구계등 동백꽃은 막 꽃봉오리가 맺힌 상태에서 마침내 개화하기까지 이 소설 전개와 흐름을 같이하면서 긴박감을 불어넣고 있다. 초반부 남녀가 해변에서 팽팽한 긴장감 속에서 서로를 탐색할 때 동백이 나오고 있다.

 

여자가 내게로 고개를 비트는 것 같아 나는 푹 숨을 내쉬며 대각선 방향으로 그녀를 비껴 동백을 찾아볼 양으로 숲으로 들어갔다. 동백은 무수한 꽃봉오리를 매단 채 한참 가쁜 숨을 몰아쉬고 있는 중이었다. 양달쪽으로 가지를 뻗는 것들은 아닌 게 아니라 하루 이틀 사이에 봉오리 끝이 빨갛게 터질 것 같았다.

 

이어 혹시나 극단적인 선택을 하지 않았나 놀라 한밤중에 숲속에서 여자를 찾는 장면에서 동백이 긴박감을 더하고 있다.

 

사위는 아직 어두웠다. 네발짐승처럼 민첩하게 돌밭을 가로질러 숲으로 들어가는 사내의 뒤를 나는 미처 따라잡을 수가 없었다. 사내가 정신없이 휘두르고 있는 전짓불 속에서 검자줏빛의 동백꽃 무리가 꿈속에서처럼 언뜻언뜻 나타났다 사라지곤 했다.

 

마지막 부분도 동백으로 맺고 있다. 여자가 새로운 삶을 찾아 먼저 떠난 아침, 주인공은 횟집 주인과 다음과 같은 대화를 주고받는다.

 

“동백이 피었나 한 바퀴 돌아보고 가시죠. 오늘쯤엔 봉오리가 터졌을 텐데요.”

동백.

“그냥 가겠습니다. 어쩌면 본 것도 같으니 말입니다.” 아리송한 얼굴로 사내가 나를 쳐다보았다.

 

사건이 전개될수록 동백이 피어나고, 마침내 동백꽃이 피면서 긴장이 해소되는 것이 이 소설의 구조다.

 

 

붉은 꽃 전체가 ‘툭’ … 필 때도 질 때도 동백꽃처럼

동백나무는 차나무과의 상록교목이다. 소설에선 폭설이 내린 겨울인데도 동백 꽃봉오리가 터지려고 하는 것에 대해 ‘중부지방으로 치자면 보름에서 한 달 정도가 빠른 개화’라고 했다. 그러나 동백꽃은 11월부터 피기 시작해 이듬해 4월까지 피는 겨울꽃이다. 완도 같은 남부지방이라면 폭설이 내리는 한겨울에 피는 것이 조금도 이상하지 않은 것이다. 주로 제주도와 남해안에 분포하고, 서해안을 따라 백령도 바로 아래 대청도에서까지 자란다.

 

동백나무가 한겨울에 꽃을 피우는 것은 곤충이 아닌 동박새가 꽃가루받이를 돕기 때문이다. 동박새는 동백꽃의 꿀을 먹는 과정에서 이마에 꽃가루를 묻혀 다른 꽃으로 나른다. 동박새는 워낙 작고 날쌔 실물을 보기가 참 힘든 새다. 동백꽃을 보러 갈 때마다 동박새를 담아보려고 했지만 한 번도 성공하지 못했다. 동백나무 사이에서 새소리가 나는 것으로 보아 동박새가 있는 것이 분명한데 좀처럼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다.

 

동백꽃은 꽃이 지는 방식이 독특하다. 꽃잎이 한두 장씩 떨어지지 않고 꽃 전체가 통째로, 싱싱한 채로, 심지어 노란 꽃술까지 함께 툭 떨어져 버린다. 꽃이 진 후에도 나무가 지저분해지지 않는다. 그래서 이해인 수녀 시집 중에 제목이 ‘필 때도 질 때도 동백꽃처럼’이 있을 것이다. 동백꽃 이외에도 능소화, 무궁화도 통째로 떨어지는 꽃이다. 붉은색에다 통째로 떨어지는 점 때문에 동백꽃은 사랑을 이루지 못하고 배신당하는 여인을 상징하는 경우가 많다. ‘헤일 수 없이 수많은 밤을/내 가슴 도려내는 아픔에 겨워’로 시작하는 이미자의 노래 ‘동백아가씨’가 대표적이다.

 

꽃이 지고 나면 열매가 맺히는데, 지름 3∼4cm 크기로 사과처럼 둥글게 생겼다. 씨로는 기름을 짜 옛날 부녀자들이 머릿기름으로 썼다. 동백나무가 자라지 않는 중부 이북에서는 생강나무 열매로 동백기름을 대신했다고 한다. 김유정 소설 <동백꽃>에 나오는 꽃이 붉은색이 아닌 ‘노란 동백꽃’인 이유다. 드물게 하얀 꽃이 피는 흰동백나무도 있다. 꽃잎이 활짝 벌어지고, 어린 가지와 씨방에 털이 많이 나 있는 것은 일본 원산의 애기동백나무다. 동백꽃은 벌어질 듯 말듯 중간쯤만 벌어지기 때문에 꽃잎이 활짝 벌어져 있으면 애기동백나무로 봐도 무방할 것이다. 동백꽃은 절 주변에서 숲을 이루고 있는 경우가 많다. 고창 선운사, 강진 백련사, 광양 옥련사지 등에서 동백나무 숲을 만날 수 있다. 절 주변에 동백나무를 심은 것은 두껍고 늘 푸른 동백나무 잎이 불에 잘 붙지 않기 때문이다. 혹시 산불이 났을 때 방화수(防火樹) 역할을 하라고 절 주변에 심은 것이다.

 

 

‘당신만을 사랑합니다’ … 2019년 하반기에 불어닥친 ‘동백앓이’

<천지간>은 윤대녕의 다른 소설처럼 여행 중 겪은 이야기이고 여인과의 인연이 등장하고, 시적이고 몽환적인 분위기에다 섬세한 감수성을 드러낸 점까지 윤대녕 소설의 특징이 잘 드러나 있다.

 

1996년 이상문학상 수상작이다. 윤대녕의 소설 중에서 <3월의 전설>이 이야기 전개 과정과 분위기가 <천지간>과 비슷하다. <3월은 전설>은 초봄이 배경이라 동백꽃 대신 구례 산수유마을 산수유, 화개 벚꽃, 섬진강 매화가 등장하는데, 화려하게 펼쳐지는 봄꽃들을 감상하는 것이 이 소설을 읽는 재미다.

 

우리나라에선 베르디의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La Traviata)’를 한동안 ‘춘희’라고 번역했다. 이 오페라는 프랑스 작가 알렉상드르 뒤마 피스의 소설 <동백꽃 여인>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그런데 일본이 이 소설을 번역하면서 ‘동백아가씨’ 정도를 뜻하는 ‘춘희(椿姬)’로 번역했는데, 우리가 한때 그대로 받아들여 쓴 것이다.

 

2019년 하반기(9~11월) 많은 사람이 ‘동백앓이’를 했다.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 때문이었다. 동백이가 운영하는 카페 이름이 ‘Camellia’였는데, 카멜리아는 동백나무의 영어 이름이자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의 속(屬)명이다. ‘Camellia’는 17세기 필리핀에 머물며 동아시아 식물을 연구한 체코 출신의 선교사 카멜(Kamel)의 이름을 딴 것이다. 마침 남녘은 지금 동백꽃 필 무렵이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