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일)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반편견교육을 위한 내러티브 접근(1)

스토리텔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내러티브 접근 방법은 반편견교육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번 호부터 2회에 걸쳐 도덕 수업에서 내러티브 접근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의 효과적인 방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스토리텔링과 밀접히 연관되는 내러티브 접근
도덕 수업에서 내러티브 접근(Narrative approach)이란 비교적 최근에 강조되고 있는 것으로, 전통적으로 도덕 수업에서 학생들의 도덕적 사고력과 판단력, 도덕적 민감성과 도덕적 상상력을 함양하기 위해 도덕적 이야기를 활용한 교훈적 이야기 말하기(Story telling) 방법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그렇다면 먼저 내러티브 접근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론적으로 탐구해 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내러티브의 의미, 내러티브 접근의 유형과 의의, 내러티브 접근을 위해 교사가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등에 정확하게 이해함으로써, 내러티브 접근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을 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내러티브는 라틴어 동사 ‘Narrare’에서 온 말로 ‘관련되다’, 혹은 ‘알게 되다’는 뜻을 가진 것으로 ‘이야기(Story)’와 비슷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내러티브는 흔히 우리말로 ‘서사’라고 번역되는데, 시공간적으로 인물, 사건, 사연들이 인과관계를 갖고 연결되어 말해지는 이야기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내러티브는 에피소드, 행동 그리고 행동에 관한 설명을 조직화하는 방식이다. 그것은 현실의 사실과 환상적 창조물을 묶어주고, 시간과 공간이 통합되는 성취물이다.

내러티브 또는 이야기는 어떤 목적을 향해 흘러가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그러한 인상을 가지고 행위 전체를 강조한다. 이런 의미에서 이야기는 세상을 이해하기 위한 수단 혹은 단순한 오락 이상의 것이다. 즉, 이야기는 인간의 행동 방식을 보여주는 세상의 요소를 표현하고 있다. 아무리 간단한 이야기라고 해도 세계에 존재하는 관계를 보여주고 어떻게 인간이 행동해야 하는가를 보여준다. 간단히 말하면, 이야기의 내용은 어떤 도덕적 조언을 간직하고 있으며 따라서 사회의 가치를 전달한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