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미래, 1970~1980년대 우리나라는 연평균 9%씩 경제가 성장했다. 청년들은 대학을 졸업하면 대기업에 취업했다. 회사에 다니다가 결혼을 할 때가 되면 아파트 분양으로 결혼과 동시에 집 장만에 성공하는 사람도 있었다. 아버지의 나라의 대한민국은 그랬다.
이런 시간이 흘러 2000~2010년대 우리나라는 연평균 2~3%씩 경제가 성장한다. 대학을 졸업해도 취업을 못한 청년들은 아르바이트와 인턴을 전전하고 공무원 시험에 매달린다. 사회에 진입조차 못한 이들에게 결혼은 어불성설이다. 집 장만? 더더욱 꿈조차 꾸지 못할 일이다. 이른바 'N포 세대'인 아들의 나라의 대한민국이다. 아버지의 나라와 아들의 나라는 같은 나라일까? 다른 나라라고 보는 것이 옳다. 그럼에도 2016년도 아들들과 아버지들은 달라진 나라 대한민국을 살아내야만 한다.
저성장이 무엇인가를 이미 일본은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저성장 시대 새로운 경제 문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 있다. 이원재 희망제작소 소장은 이 책 '아버지의 나라, 아들의 나라'에서 '한국이 과거와는 전혀 다른 나라가 됐다'는 분석을 기반으로 사회 문제들의 해결책을 도출한다. 저자가 주장하는 '오늘의 불안을 이기는 내일의 경제 패러다임'이 그것이다. 특히 저자는 성장, 소득, 일자리, 기술, 노후에 집중한다.저자는 독자들에게 양을 늘리는 성장은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대화와 서비스는 대부분 충분히 크고 넓고 빠르다는 것이다. 성장은 여전히 중요하되 그 내용은 달라져야 하며 현 시대에 더 필요한 가치들을 성장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고속 성장기에 우리 사회가 놓치고 있던 사회적 가치와 환경의 가치, 인권과 노동의 가치를 높이는 방향으로의 성장을 말한다. 소득에 대한 저자의 관점도 이와 비슷하다. 저자는 화폐로 환산되는 가치만을 따라 왔지만 아직도 누구도 제대로 행복하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때문에 소득 중심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가정 내의 노동, 자원봉사, 품앗이 같은 호혜활동, 합리적 토론 과정과 의사결정 과정의 민주성, 다른 나라에 있는 것들을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에 없는 새로운 것을 상상하고 만들어내는 것에 가치를 두어야 할 시점이다. 아들의 나라를 조금이라도 염려한다면 지금이라도 출발을 서둘러야 한다. 평생 현역으로 일할 수 있는 능력이야말로 저성장, 저출산, 인구고령화 시대의 확실한 대안이다. 이를 위해 평생 학습하고 능력을 키우고, 건강을 유지하는 노력이 필수적이다. 이처럼 우리 사회가 가져야 할 덕목이 무엇인가를 곰곰히 생각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