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7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공부란 무엇인가를 한번 쯤은 물어야 한다

 인간에게 아니 모든 학생들에게도 "우리는 왜 공부하는가?"라는 질문에 제대로 답을 한다면 미래의 삶은 달라질 것이다. 그래서 오늘은 '공부하는 인간'이라는 4부작을 보았다. 1편에서서는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는 지금으로부터 4천 년 전 수메르 문명의 한 점토판을 보유하고 있는데 당시 학생의 일과가 상세하게 묘사돼 있다. 그리고 주인공 학생은 온종일 쓰기와 외우기를 반복한다. 수업 시간에 딴 짓을 하다 교사에게 걸려서 체벌을 받기도 하고, 학부모는 교사에게 '잘 부탁드린다'며 촌지도 건넨다. 지금의 현실을 보아도 새삼스럽지 않은 풍경이다. 공부는 인류 발전의 원동력이 된 것이다. 그래서 공부란 시대가 변해도 일상적인 화두가 된다.

우리는 주어진 텍스트를 읽고, 문제 푸는 능력을 길러 높은 성적을 받는 것을 공부라고 생각한다. 다른 문화권에서도 마찬가지일까를 살펴보았다. 또 "공부란 게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것이 신기했고, 작가는 그 문화적 차이를 주목해 프로그램의 출발점으로 삼았다"고 하면서도 "공부라는 일상적인 화두로 다큐멘터리를 만드는 것은 정말 어려운 과정이었다"고 되돌아 봤다.

중국에 있는 학교를 방문해 보면 조는 학생을 한 번도 보지 못했다는 관찰자도 있다. 사진 촬영을 위해 아무리 카메라를 들이대도 전혀 신경을 쓰지 않았다. 이를 보면서 공부에 대한 중국인들의 열정이 충격적임을 알 수 있다. 출연자인 하버드대생 릴리는 생후 5개월 때 우리나라에서 유대인 가정으로 입양됐으며, 스캇은 부모가 미국에서 세탁소를 운영하는한국계 이민 2세라는 독특한 배경을 가지고 있다. 이들과 함께 중국·일본·인도·이스라엘 등 세계 곳곳을 돌아다니며 국가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공부의 의미를 카메라에 담았다.

인도에서 공부는 카스트 제도상 '불가촉천민'의 자녀도 떳떳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자라날 수 있게 하는 통로다. 이스라엘에서 공부란 정숙한 도서관이 아닌 시끌벅적한 '예시바(유대인 도서관)'에서 토론으로 빚어내는 소통이다. 프로그램은 그 여정의 첫 출발지로 대한민국의 '사교육 1번지' 강남구 대치동을 택했다.  하버드대 학생들은 밤 10시가 넘어도 불야성인 학원가, 잠을 쪼개가며 공부하는 학생들의 모습에 연방 놀란다. 특히 하버드대 학생도 쩔쩔매는 수학 문제를 한국의 고등학생들이 손쉽게 풀어내는 장면은 많은 시사점을 던진다.

다큐멘터리는 대치동 학원가, 일본 도쿄대 합격자 발표 현장, 중국의 대학 입학 시험장 등의 풍경을 통해 동양 문화권에서 공부가 지닌 공통적인 의미를 짚어낸다. 공부란 바로 남보다 뒤처지지 않으려는 욕망의 발현인 것이다. 남들보다 우수하다는 말을 들었을 때 서양 학생들은 대체로 문제에 대한 집중도가 올라가지만, 동양 학생들은 오히려 흥미를 잃는다는 실험 결과는 예상보다도 흥미롭다. 우리 학생들이 한번 쯤은 건너야 할 이 강을 잘 건너기 위해서는 공부란 무엇인가를 한번 쯤은 진지하게 물어야 할 것 같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