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7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우리에게 적당한 거리가 필요한 이유

 대부분 사람들의 모습이 겉으로 보기엔 그다지 큰 문제 될 만한 게 없이 보인다. 그런데 자세히 들여다 보면 언제나 오늘이 힘들고, 고달프게 느껴진다. 그러나 명절을 맞이하여 가족과 만나서 고달픔을 풀고 다시 일터를 향하는 것이 우리의 모습이다. 열심히 살아온 것 같은데, 다른 사람들만큼 나도 노력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내 마음은 너무나 공허하여 그 무엇으로도 채울 수 없을 것 같을 때도 있을 것이다. 이것이 바로 지금 이 시대를 사는 모든 사람들에게 위로가 필요한 이유다. 정답이 없는 인생이다. 그래도 누군가 내게 “괜찮아, 괜찮아, 다 괜찮아”라고 말해준다면 조금쯤 안심이 되지 않을까.

세상에 어떤 사람도 모든 것을 끌어안고 살 수는 없다. 적당히 잊기도 하고, 저절로 사라지기도 하고. 그런데 기억하고 싶지 않은 일들은 유독 그 기억이 오래간다. 그래서 오래된 기억의 창고에서 꺼내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모든 가족들의 만남이 편안해야 하는데 삐거덕 거린다.  우리 모두는 오묘한 태양계의 많은 별 중에서도 특히 이 지구별에서 태어난 그날부터 하루도 빠짐없이 살아있지만, 언젠가는 반드시 이 땅에서 사라지게 될 것이다. 그것이 이미 알고 있는 일이니 슬플 것은 없지만, 그 사는 동안 아픈 일을 곱씹으면 사는 건 너무 비극이 될 수 있다. 기쁘고, 행복하게 삶을 꾸리는 데 필요한 것만 챙기고, 나머지는 다 버려야 하는데도 버리지 못하는 것이 인간의 내면을 붙들고 있다. 그게 바로 행복을 망가뜨리는 것인데도 우리 인간이 사는 방법이다. 나쁜 기억을 태워버리는 좋은 방법은 없는 것일까?

우리는 세상의 많은 것들에 흔들리고, 생채기가 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내야 하는 우리는 모진 바람에 흔들리고, 휘어져도 결코 꺽이면 안 되는 존재다. 무조건 행복할 수도 없고, 무작정 앞으로 나아갈 수도 없는 인생의 길 위에서 한 번쯤 이런 질문을 던져본다. “나 지금 잘 살고 있는 거야?”라고. 그리고 누구에게라도 답을 듣고 싶다. "그래, 열심히 잘 살고 있어. 이 정도면 충분해" 하는.

오늘도 흔들리는 삶 앞에서 선 나에게 던지는 작은 질문은 나는 정말 잘 살고 있느냐고 묻는 물음이다. 사람마다 관점도, 생각하는 것도 다르다는 것은 인정하는 나이지만, 그래도 여전히 세상의 절반인 여자들을 이해하는 건 도무지 길이 보이지 않는다.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라는 책도 이렇게 남녀의 다른 점을 다뤘겠지만(아직 읽지는 못한, 제목만 아는 책이라) 정말이지 남자와 여자는 다르다. 다르기 때문에 서로 끌리는 건지도 모르겠다.

모든 것이 같다면, 이해하는 건 더 쉽겠지만, 사랑하는 감정이 싹트기 어려울 것 같다. 다르기 때문에 설레고, 설레니까 알고 싶고, 알고 싶으니까 더 잘 보려고 하고 그런 게 아닐까. 누군가는 휴일을 만들어 쉬고 있지만 누군가는 힘들게 일하면서 스트레스를 받기도 한다. 모두가 쉬는데도 야구장에선 경기가 진행되고 있다. 그들은 경기 때문에 가족과의 만남도 포기를 해야 한다. 투수와 포수의 거리는 18.44미터이다. 이 거리가 너무 멀면 투수가 불리하고, 너무 가까우면 타자에게 불리해서 둘 사이에 가장 ‘적당한 거리’로 정한 것이라 한다. 태양과 지구의 거리는 149,000,000킬로미터인데 이 거리의 이유는 잘 모르겠다. 가장 쉬운 답은 인간을 너무도 사랑한 하나님께서 우리가 살기에 금성은 너무 뜨겁고, 화성은 너무 추워서 이 정도 거리를 둔 건 어닐까? 이건 아무래도 답을 해준다 해도 믿지 않으면 해결이 어려운 문제일 것이다.

어찌되었든 모든 사물, 사람과의 관계에서  '모든 거리에는 다 이유가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당신과 나의 거리는 어떤가? 우리는 '적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가? 모든 것이 가장 적정한 거리를 유지할 때 비로소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듯 사람과의 관계도 적당한 거리가 필요한 것 같다. 너무 멀지도 또는 너무 가깝지도 않은 최상의 거리, 그게 바로 '골든 디스턴스' 아닐까? 특히, 시어너미와 며누리의 거리, 올케와 시누의 걸리 등 가족간의 관계에서 이 거리 유지를 잘 해도 여성들의 행복은 깨어지지 않을 것 같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