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선생님, 방학을 한 후 우리학교에서는 특별히 굿네이버스의 지원을 받아 희망프로젝트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처음에는 참가하겠다고 약속한 학생들이 아무 연락도 없이 학교에 오지 않으니 정말 마음이 상하지요? 이런 모습을 보면서 앞으로 교육이 더욱 어렵겠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그 이유는 어떤 목적을 위해 계획하여 실시하고자 하면 기본적으로 이에 참여하여야 하는데 아무런 연락도 없이 일주일 내내 오지 않는 모습을 보면서 괴로운 마음이 드실거라 생각합니다.
물론 이유야 많겠지요. 무엇보다 더운 날씨 때문일수도 있겠지요. 그러나 근본적으로 학생과 학교간의 약속이 무너지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교육은 부모가 관심을 갖지 않으면 불가능한 일입니다.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가정이, 그리고 자식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가를 생각하게 됩니다. 자식이 귀한 것이야 누구나가 다 마찬가지이겠지요. 그러니 이 방법이 바로 교육을 잘 시키는 길입니다.
우리 사회에서는 자식을 너무 귀하게 싸고도는 사람들에게 사자의 새끼 양육법에 관함 얘기를 비유해서 말하는 경우가 있는데 서구 사람들은 이럴 경우 스파르타식 교육을 말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본 사람들은 자기의 자식들에게 세상이 어떤 것인가를 가르쳐주기 위해서 여행을 시켜주라고 이야기 합니다. 인생은 직성이 아니라 곡선입니다. 곡선의 강은 큰비가 내리면 언제 바뀔지 알 수가 없는 것도 사실입니다.
우리 인생도 큰 힘이 작용을 하면 바뀌게 되는 것인데, 과정에 많은 사람이 그리고 책이, 더 나아가 크고 작은 경험을 할 수 있는 시간이 지나갑니다. 그런데 세상살이는 명상이나 책을 통해서 얻은 지식만 가지고서는 살아갈 수가 없습니다. 자신이 스스로 겪은 경험이 가장 좋은 길잡이요 스승이 될 것입니다. 경험은 내가 만들어서 하는 경험도 있고 외부 환경에 의하여 어쩔 수 없이 피하기 어려운 경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프로그램을 통하여 직접 꿈을 만들어 보고 친구들과, 그리고 선생님들과 이야기 하는 시간을 갖게 된 것입니다. 직접 하는 체험은 질이 다르지요. 헤겔의 말에 의하면 이 세상에서 가장 훌륭한 교육은 경험인데 다만 그 값이 너무 비싼 것이 흠이라고 말한 바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세분의 강사님을 통하여 그 경험에 가까운 수업을 하게 한 것입니다. 이번 공부는 문제를 푸는 공부, 점수를 많이 올리기 위한 공부가 아닌 내 자신을 알고 무엇을 할 것인가를 발견하는 중요한 공부입니다.
노벨문학상을 1949년에 받는 포크너는 본시 현재의 미시시피 주립대학이 있는 옥스퍼드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주립대학 재단에서 사업 담당자로 근무하였기 때문에 집안은 대체로 유족한 편이었습니다. 더구나 대대로 명문이어서 포크너는 어렸을 적부터 고생 같은 것을 모르고 살 수가 있었습니다.
포크너는 학업 성적이 우수하지도 못했으며 고등학교를 중도에서 그만두고 할아버지가 경영하는 은행에서 잔심부름을 하면서 세상을 배우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이때부터 광범한 독서를 시작했고 문필에 대한 매력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이 아늑하게만 살아온 이제까지의 삶은 사회현상의 지극히 적은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과 이 세상에는 어둡고 음울한 그늘이 많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포크너는 이러한 사회현상들을 자신의 소설의 주제로 삼고자 했으나 막상 붓을 잡고 보니 소재가 빈곤하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이에 포크너는 남이 가기 싫다는 군대에 지원해서 1차대전에 참전해 보고 싶었지만 키가 너무 작아서 징병검사에 불합격을 당하고 말았습니다. 그러나 그는 전쟁을 몸소 겪어보고 싶은 충동을 억누를 길이 없어 끝내는 캐나다로 건너가 영국 공군에 입대할 수가 있었고, 1차 대전의 종전과 함께 공군 소위로 제대할 수가 있었습니다.
1차세계대전이 끝나자 포크너는 당신의 대부분의 청년들이 그랬던 것처럼 세상의 별의별 일을 다 해보았는데, 상점도 경영해 보았고 목수며 칠장이까지 해보다가 나중에는 아버지가 근무하던 대학의 우편국장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이 일을 곧 집어치우고 말았습니다. 그가 당시에 제출한 사표를 보면 ‘나는 단돈 2센트짜리 우표를 사면서 거드름을 피우는 녀석들이 이래라 저래라 하는 꼴이 싫어서 이에 사표를 제출한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제까지 이야기는 포크너가 27살이 될 때까지 겪은 일들입니다. 그후 그는 1962년 55세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우리에게 잘 알려진「음향과 분노」와 같은 소설을 남기고 1949년에는 노벨 문학상을 받았습니다. 나는 포크너의 일생을 생각할 때마다 인생을 평안히 안주하려는 사람에게는 한 세상 왔다 가는 길에 큰 일을 할 수 없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그가 만약 아버지의 그늘 속에서 평안히 청년시절을 보냈고 키 작은 것을 빙자하여 군대도 가지 않고 그저 평범한 한 청년으로서 세상을 살았다면 그에게는 노벨상의 영광도 없었을 것입니다. 또 지금 내가 이런 이야기를 쓰는 화제의 주인공이 되지도 않았을 것입니다.
그러니 우리는 젊어 한때의 어려움을 너무 가슴 아프게 생각하지 말고 내일을 위한 교훈으로서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입니다. 그 길만이 그 고생을 덜 억울하게 하는 것이오, 또 자신을 웃음짓게 해주는 일이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필자는 근무하고 있는 우리 아이들이 더 큰 꿈을 꾸게 하기 위하여 지역사회 굿네이버스의 힘을 빌려서 아이들의 꿈을 심는 교육을 한 것입니다.
이것이 내가 꼭 야 할 정도의 일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내 제자들이 한 사람이라도 올바른 꿈을 갖고 이세상을 살아가기 위한 뜻과 기 삶의 뿌리를 튼튼하게 내리기를 기대하는 소망에서 한 일입니다. 험이 짧고 보는 것이 적은 환경에서 자란 아이들이 기댈 곳은 아직도 학교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시절에 날이 새도록 책을 읽은 학생들의 미래는 분명히 밝을 것이며, 꿈을 꾸고 하루를 시작한 아이들은 혹시 어려움에 처하더라도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은 이렇게 더운 여름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기른 내공이라 믿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