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는 1950년대 초 한국전쟁이 발발했을 당시 농업에 의존한 조용한 나라였다. 그런데 불과 30년만에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농촌 인구가 감소하였고 아직도 진행중이다. 한국의 제조업자들은 제철과 조선업 등에서 세계적 지위를 확보하면서 세계수준의 경제국가로 변모시키는데 성공하였다.
한국을 변화시킨 이러한 전환의 속도는 전례가 없을 만큼 매우 빠르고 극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성과를 이루기 위하여 일본이 75년, 프랑스 200년, 미국이 125년 걸렸다는 보고도 있는데 한국은 이를 30년 만에 달성했다는 것이다. 이같은 변화의 물결 속에서 앞으로 다가올 사회와 경제가 어떤 모습일지에 대해 아직 확실하게 말할 수는 없다. 지금부터 10년 또는 15년 이후의 사회와 경제는 오늘날과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나타날 것이다.
인구증가로 인하여 생산활동은 지속적으로 늘어나지만 생산분야의 고용인력은 급속히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기업 역시 사업 목표를 하는 시장이 오직 지역시장뿐이라고 하더라도 글로벌적 차원에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개인 역시 자기만의 경쟁력을 갖지 못하면 생존이 어렵게 된다는 것이다. 이에 취업이 어렵게 되자 많은 사람들은 창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창업이란 쉽게 되어서 아무렇게나 하여도 성공하는 것이 아니다. 창업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들이 중요한 덕목으로 중요한가이다. 창업가는 혁신적이여만 하는가? 미겔 다빌라는 1994년 대학원 동기들과 멀티스크린 영화관을 열기로 했다. 북미와 유럽에는 이미 멀티스크린 영화관이 즐비했다. 하지만 이들은 멕시코에서는 아직 그렇지 않다는 점에 주목했다. 천신만고 끝에 JP모건의 투자를 받기로 했는데 그해 말 멕시코 정부가 페소화 가치를 달러화 대비 절반으로 끌어내리면서 투자받기로 한 자금의 가치가 반토막 났다. 그래도 이들은 포기하지 않고 투자 금액을 두 배로 늘려 원래 의도했던 만큼을 지원해 달라고 배짱을 부렸다. 이렇게 탄생한 시네맥스는 첫 주말부터 수많은 관객을 모았다.
창업가는 전문적인 지식을 가져야만 하는 것인가? 아비 샤는 법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다. 하지만 그가 운영 중인 클러치 그룹은 미국, 인도, 영국에서 활동하는 변호사 400명의 업무를 지원한다. 샤는 월화수목금 일해야 하는 변호사들의 고충을 들었다. 새내기 변호사에게도 시간당 300달러씩 지급해야 하는 의뢰기업들의 불평에도 귀를 기울였다. 이들이 가진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지점에 사업 기회가 있을 것으로 봤다. 변호사 업무 지원 서비스는 여기서 탄생했다.
창업가는 젊어야 하는가? 아쓰마사 도치사코가 MIFC를 창립했을 때, 그는 52세였다. 그는 도쿄 은행에서 30년 동안 일하며 스페인과 멕시코, 에콰도르, 페루 등을 경험했다. 그는 돈을 벌기 위해 미국 등으로 이주한 이 나라 국민이 본국에 있는 가족에게 송금할 때 시중은행을 이용할 수 없어 중개업체에 높은 수수료를 물어야 하는 현실을 보며 사업 아이템을 구상했다.
우리는 창업가 혹은 창업가정신을 이야기할 때 스티브 잡스형 천재가 창고에 틀어박혀 컴퓨터 한 대를 앞에 두고 눈을 빛내는 순간을 떠올린다. 하지만 ‘하버드 창업가 바이블’의 저자 대니얼 아이젠버그와 캐런 딜론은 “창업을 하는 데 혁신과 전문적인 지식, 젊음은 필수 조건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그보다는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간파하는 역발상적 사고와 아이디어를 끈질기게 밀고 나갈 수 있는 추진력이 더 중요하다는 얘기다. 이처럼 취업이 어려운 시대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혁신, 지식, 젊음보다 마지막까지 끈질기게 밀고 나가는 우직함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