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누구든지 칭찬을 들으면 기분이 좋아진다. 공부를 열심히 해서 좋은 성적을 거뒀을 때, 일을 잘해서 성과가 좋았을 때 “정말 수고했다. 역시 믿음직해!”라는 말은 그동안 쌓였던 피로를 말끔하게 풀어 준다. 그런데 우리는 왜 이렇게 칭찬에 기뻐할까.
미국의 심리학자인 매슬로는 욕구단계설에서 인간의 욕구도 중요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나타난다고 밝혔다. 기본적으로 먹고 사는 생리적인 욕구와 안정을 취하는 욕구, 사랑과 관심을 받고자 하는 욕구가 충족이 되면, 다음으로는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고 싶어하는 욕구가 생긴다. 즉, 먹고살 만한 요즘 시대에는 누구나 기본적으로 칭찬을 받고 싶어하는 단계에 있다는 이론이다.
그런데 칭찬도 나름대로 노하우가 있다. 칭찬도 연습하고 훈련해야 더욱 세련되게 적재적소에서 구사할 수 있다. 칭찬을 해야겠다고 마음먹었지만 생각대로 잘 안되는 이유는 바로 칭찬이라는 것을 너무 어렵게 생각하기 때문은 아닐런지! ‘이 사람에게 칭찬할 것이 뭐가 있지? 지난번 프로젝트 때 성실하게 일한 것을 칭찬할까. 아니, 너무 지난 일이라 칭찬할 타이밍이 아닌가?’ 이런 생각을 하다보면 어느덧 칭찬의 기회는 지나가버린다. 사실, 칭찬은 아주 쉽고 간단하다.
먼저 칭찬의 기술 1단계는 바로 눈에 보이는 것을 칭찬하는 것이다. 상대방의 의상, 머리모양, 넥타이, 안경, 미소 등을 보면서 마음에 들거나 눈에 띄는 것을 칭찬해 주는 것이다. 남성을 칭찬할 때는 주로 넥타이 색깔을 언급하는 것이 가장 편한 방법이고 여성은 옷 색깔이나 머리를 언급하는 것이 쉬운 방법이다. 예를 들면 "오늘 넥타이 색깔이 멋지네요. 오늘 옷이 화사한데요."이다.
또, 칭찬을 하려고 하면 상대방을 관심을 가지고 보게 된다. 그러면 머리모양이 바뀌었는지, 의상이 어떤지, 얼굴 표정이 좋은지 쉽게 알 수 있다. 결국 칭찬은 상대방에 대한 관심의 시작이고 그 관심이 말로써 표현될 때 서로가 유쾌해지고 행복하게 된다. 아내가 머리모양을 새롭게 바꿨는데도 남편이 몰라본다면, 아내가 바가지를 긁어 불행해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칭찬의 기술 1단계를 습관화하면 언제 어디서든 상대방을 편하게 칭찬할 수 있다.
아주 사소한 것 같지만 아이들의 이름을 기억하여 불러주는 것, 이것 자체가 아이들과 교육현장의 선생님들이 만나는 첫걸음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그럴 시간과, 마음의 여유조차 갖지 못하고 분주하게 뛰고 있는 것이 바로 오늘의 교육현장이 아닌가 생각한다. 이같은 배경에는 갖가지 공문서 작성 등 교육활동과 직접 관련성이 적은 업무가 많은 현실이다. 특히 국회의원들의 끊임없는 요구 자료 작성은 선생님들의 마음을 지치게 한다는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