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어도 인생을 멋지게 사는 사람들이 있다. 나는 그런 사람이 부럽다. 나도 머지 않아 퇴직을 하고 그런 나이를 먹을 때가 오는데 그 때를 그려보며 오늘도 그런 사람을 만나고 싶다. 이분이 바로 자신이 세운 남부대에서 ‘인간학’을 강의하고 있는 우암학원 조용기 학원장이다. 89세 나이지만 그는 강의 때마다 젊은이들에게 “자기 삶의 키워드를 찾으라”고 강조한다. 인간이란 “흔들리고 넘어지고 상처를 입어도 목적지를 향해 뚜벅뚜벅 걸어가는 게 진정한 삶 아닐까요.” 그는 미국의 시인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가 쓴 ‘때로는 흔들릴 때가 있습니다’를 학생들에게 낭독하게 한 뒤 그 의미를 설명했다.
그는 남부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매주 월요일 오전 10시부터 2시간씩 강의하는 노익장을 과시하고 있다. 교과목 이름은 교양학부의 2학점짜리 ‘조용기 인간학’이다. 같은 학원 산하의 전문대인 전남 곡성군 전남과학대에서도 매주 화요일 같은 강의를 하고 있다. 2000년부터 두 대학에서 강의를 했으니 벌써 15년째 들어간다. 그는 본인이 겪은 험준한 세상살이를 사례로 들어 세상의 변화에 대처하는 지혜를 풀어낸다.
이분의 강의를 들으면서 젊은이들은 열정과 꿈을 가진 20대 청춘의 보폭에 맞춰 자신의 인생을 되짚어 보기도 한다. 한 수강생은 “꿈이 있는 삶은 미래를 희망하는 삶이 아니라 미래를 준비하고 노력하는 삶이라는 교수님의 강론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 강의 때마다 쪽지시험을 봐 긴장도 된다”며 웃었다.
조 학원장은 풍부한 인생 경험에 오랜 강의 노하우를 가졌지만 강의 준비는 젊은 교수 못지않게 철저하다. 두 시간 강의를 위해 보통 6∼7시간 책과 씨름하고 자료를 만든다니 젊은 사람들이 배워야 할 대목이다. 직접 강의계획서를 쓰고 학생들이 낸 리포트도 꼼꼼하게 살펴 학점을 준다. 이면지를 갖고 다니며 생각날 때마다 메모를 해 사용할 정도로 검소하다.
조 학원장은 6·25전쟁의 폐허 속에서 이 땅의 청년들에게 미래를 열어주고자 천막 교실 두 채에서 교육에 투신했다. 우암학원은 64년 만에 남부대, 옥과고, 병설유치원, 노인 일자리를 위한 곡성시니어클럽, 우암병원 등을 갖춘 전인교육의 현장으로 성장했다. 그는 2004년 곡성군 적정규모 학교 통폐합 시범사업에 힘을 보태기 위해 50년 넘게 운영해 온 옥산중학교를 국가에 헌납하고 자신의 아파트도 학교법인과 대학 재산으로 기부했다.
조 학원장은 “강의하는 날이 가장 행복하다”며 “요즘처럼 빨리 변하는 세상에 흑백사진 같은 내 인생 이야기가 즐겁고 재미있을까마는 눈을 반짝이고 고개를 끄덕이며 경청하는 학생들이 고마울 따름”이라고 말했다. 이는 마치 몇 해 전 작고한 일본의 노 교수 쇼치 사브로를 떠올리게 한다. 104살이 된 쇼지 박사는 2010년 고령에도 불구하고 빨간색 재킷 차림의 건강하고 활달한 모습으로 대구대가 제정한 ‘사랑·빛·자유상’ 수상자로 시상식에 참석하였으며, 106살되던 2012년 영면하였다.
그는 일본 최초 특수학교인 시이노미학원을 1954년 설립한 이후 일본을 비롯해 한국과 중국 등 각국에 특수교육의 중요성을 알려왔다. ‘뇌성마비아의 치료교육’ 등 특수교육 관련 200여 권의 저술을 통해 일본의 대표적인 특수교육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조학원장도 앞으로 더욱 교육을 통하여 젊은이들에게 꿈을 심는 역할을 잘 감당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