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변화 속도가 너무 빠르다. 한국의 변화는 더욱 그렇다. 그런데 국회라는 정치 조직의 변화는 세월호에 갖혀 있다. 국회는 변화를 하지 못하여 국회의원을 보는 국민들의 시선이 매우 따갑다. 어느 리더는 협상에 더 이상 양보는 없다고 발언하고, 또 어느 리더는 이에 동의하지 않은 발언을 주고 받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 시대의 변화를 제대로 읽지 못하는 것이다.
조직은 변화를 받아들여야 한다. 정치조직도, 학교도 기업도 마찬가지이다. GE의 전 회장 잭 웰치의 경영 노하우 중에 아주 중요한 원칙 하나가 ‘너무 늦기 전에 변해야 한다!’는 것이 키워드 였다. 이 말이 뜻하는 바를 그는 다음과 같이 역설하고 있다. “인간 누구도 변화를 좋아하지 않는다. 처음에는 모두가 이렇게 얘기한다. ‘나는 지금 이대로가 좋아. ’물론 그래서 나도 이곳에 있다. 내가 지금 이대로를 좋아하지 않는다면, 아마 다른 곳에 있었을 테니까. 하지만 이제는 게임이 아주 극적으로 변할 것이다.”
잭 웰치는 사업 환경에 영향을 끼치는 새로운 흐름을 지적하면서, 앞으로 다가올 전혀 다른 10년을 대처하기 위해 새로운 계획, 새로운 프로그램을 구상했다. 잭 웰치는 다른 리더들과 달리 변화를 좋아했던 것이다. 그는 변화가 흥미로운 것, 도전적인 것이며, 심지어는 자유로운 것이라고 생각했다. 새로운 제품들과 새로운 경쟁자들이 나타나, 날마다 새롭고 전과 다른 사업 환경에 직면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변화를 즐기는 것’이야말로 최선의 생존 전략임을 그는 본능적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그는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부딪치면서 오직 하나의 질문만을 되뇌었다. 변화하는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그가 내린 결론은 “날마다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일하라”는 것 이었다. 한마디로 늘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하라는 것이다. 지속적으로 변화하려고 노력해야만 과거의 낡은 습관과 관습적 사고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그는 생각했다. 그는 자신의 감각을 현실 변화라는 숫돌에 항상 날카롭게 벼려서, 습관적인 틀에 흘려버리지 않았다. 변화야말로 생산적이고 필수적인 사업 전략임을 반복해서 증명해 보였다. 세상의 모든 것이 변하고 있다. 또 변해야 한다. 따라서 리더는 낡은 방식을 버리고 새로운 방식을 선택해야 한다.
매일 아침 아프리카에선 가젤이 눈을 뜬다. 그는 사자보다 더 빨리 달리지 않으면 잡아먹힐 것임을 안다. 매일 아침 사자 또한 눈을 뜬다. 사자는 가장 느리게 달리는 가젤보다 빨리 달리지 않으면 굶어죽게 될 것임을 안다. 만일 내 자신신이 사자이건 가젤이건 상관없이 아침에 눈을 뜨면 당신은 질주해야 한다. 변화만이 생존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