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인간이 행동하는 근저에는 어떤 것, 어떤 사람에 대한 신뢰, 즉 믿음이 존재한다. 이성적 판단이 서지 않은 사람은 이것에 대한 판단 기준이 없다. 그래서 어린 아이는 아이스크림을 계속 먹고 싶어하고 이를 제지하지 못하는 것이 아이들 키우는 부모의 마음이다. 그러나 조금씩 철이 들면서 이러한 판단력이 축적되어 가는 게 인생이 아닌가?
우리 모두는 인생에 정해진 속도, 정해진 방향, 정해진 코스와 프로그램이 있다는 강박에 가까운 믿음을 갖고 있다. 그래서 자신이 원하는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 수많은 기출문제를 풀고, 취업을 위해 빈틈없이 잘 짜인 스펙을 준비한다. 그것들에 대한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또, 세상이 정한 표준 조건에 맞는 배우자를 맞이하고 아이를 키운다. 그럼에도 우리는 왜 좀처럼 행복해지지 않을까.
그 이유는 간단하다. 인생은 머리로 뛰는 게 아니라 발로 뛰는 것이기 때문이다. 아테네 병사가 마라톤 평원이 몇 십 ㎞일지 미리 정확히 알고 자신의 체력과 열정과 에너지를 코스에 맞춰 분배해 완벽한 시나리오를 짰더라면 시민들에게 승리의 소식을 전할 수 있었을까. 아마도 그는 중도에 포기했을 것이다. 인생을 살다 보면 삶이라는 드넓은 바다나 평원을 가로지르는 데 필요한 것은 완벽한 시뮬레이션이 아니라 서툴러도 힘차게 내딛는 한 걸음 한 걸음이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학교도, 기업도 마찬가지다. 그런 한 걸음 한 걸음을 만들어나가는 경영방식이 중요하다. 이를 압축하는 세 글자는 ‘역(逆)·창(創)·락(樂)’이라 본다.
역(逆)발상은 ‘생각을 뒤집다, 역전하다’라는 뜻을 갖고 있다. 기존의 발상을 뒤집고 역전하는 역발상의 사고방식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작은 기업일수록, 새로 시작하는 기업일수록 역발상은 더욱 절실하다. 남을 따라 해서는 남의 수준밖에 안 된다. 한마디로 살아남기 힘들다. 남들과 똑같이 하면 먼저 시작한 쪽, 규모가 큰 쪽이 일방적으로 유리한 것이 이 세상의 법칙이다. 생각을 바꾸지 않고는 답이 없다. 처음에는 ‘미친 놈’ 소리를 들을지라도 남들과 똑 같은 길을 거부하는 것, 발상을 바꿔 남들이 해보지 않은 것을 시도하는 것이 ‘역발상’이다.
창(創)은 ‘창조’를 뜻한다. 창의적인 것은 반드시 유일하거나 독창적인 것을 의미하는 것만은 아니다. 남들이 안 된다고 할 때 나 스스로는 된다는 확신을 갖고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 역시 창의적인 사고다. 안 해도 괜찮지만 꼭하고 싶은 것, 갈망하는 것, 새로운 것을 해보는 것이 창조다. 이는 계속 도전하면서 자기 분야에서 성과나 업적·가치를 이룩하고자 함이다.
창조는 요즘 들어 너무 많이 나오는 이야기지만 많은 경우 구호로만 끝나고 마는 게 문제다. 말로는 창조를 이야기하지만 실상 정답이 나와 있는 문제만 풀려고 한다. 창조는 본질적으로 불안한 것이다. 성공인지 실패인지 보장된 게 없다. 그래서 창조는 짜릿하고 미래는 흥미진진하다. 창조경제는 답을 내 놓고 따라가는 것이 아니다. 자기 분야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의 하나이다.
락(樂)은 ‘즐거움’을 뜻한다. 필자는 늘 공익적인 가치를 강조한다. 돈 많이 번다고 좋은 회사가 아니다. 돈은 잘 벌지만 도덕성이 결여돼 비호감으로 찍힌 회사가 어디 한둘인가. 돈을 많이 버는 것보다 내가 좋아하고, 직원들이 좋아하고, 대중이 좋아해야 좋은 회사다. 교육도 점수만 많이 받는 것이 아니다. 과정을 즐기면서 함께 행복한 시간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남들 뒤를 쫓아가기보다 자기 길을 만들고, 남들이 안 된다고 해도 자기 확신을 가지고 긍정적으로 사고하며, 나와 상대를 즐겁게 만들고 기쁨을 주는 역·창·락의 조화가 준비되었다면, 결과에 대한 두려움을 버리고 과감히 첫 발을 내디뎌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