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최첨단 교수법은 '배려'이다

이 시대는 학교의 변화를 요구한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학교현장에서 변해야 할 가장 핵심적인 것이 교사들의 교수법이다. 쉽게 이야기하자면 구시대 교수법으로는 여러 가지 유혹에 노출된 아이들의 마음을 사로잡기에는 힘이 약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교실의 붕괴를 막기 위한 대안은 첨단 교수법으로 학생들을 이끌지 않으면 아이들은 학교로부터, 교실로부터 도망갈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교실에서는 학생들이 교과서에서 얻을 수 없는 것을 선생님으로부터 얻을 수 있어야 한다. 요즘 아이들은 성장은 되는데 성숙이 안된다는 지적을 한다. 따라서 선생님께서는 학생들에게 생각이 ‘성숙되어 가는’ 모습과 과정을 보여 주어야 한다. 여기서 첨단 교수법이라고 함은 그저 ICT 기술과 교육 방법 등 첨단 기자재를 동원하는 교수법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최근 왕성하게 이루어진 두뇌연구에 기반이 된 교수법을 포함하고 있다.

예전과 달리, 요즘에는 MRI CAT, PET, fMRI 등 두뇌를 단면 촬영하는 첨단기술이 발전하였기에 두뇌에 대한 연구가 많이 되어 있다. 최근 교육학 교과서를 보면 반 정도가 두뇌 연구에 대한 설명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볼 수 있다. 몇 가지 교수법 꽁수를 부려 학생들을 현혹하고 쇼맨십으로 학생들로부터 환심을 사는 그런 얕은 마음으로는 진정한 교육이 이행되지 않는다.

우리가 학생들로부터 존경 받고 그들이 수업에 진지한 자세로 임하기를 원하면 우리 마음 깊은 곳에서 무언가 우러나와야 한다. 단순히 교육이 교수법에 의지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마음 깊은 곳에서 우러나오는, 한 마디로 설명하자면 아마 그것은 ‘학생들을 위한 배려’일 것이다.

학생에 대한 배려는 결코 학생들이 원하는 대로 해주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학생들과 마치 친구처럼 어울리는 것도 아니고, 학생들의 인기를 끌려는 행위가 아니다. 학생 하나하나의 마음을 읽어 내는 배려는 진실된 마음에서 나온다. 필자는 몇 해 전 70년대에 가르친 제자를 만나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다. 그때 경험으로 수업시간에 자신이 수업은 하지 않고 만화책을 보았는데 꾸짖지 않고 조용히 만화책을 가방에 넣어주면서 '너 수업이 재미없는가 보구나!'라면서 주의를 주었다고 이야기를 했다. 너무 오래 전에 있었던 상황을 내가 기억할리 없다. 그러나 지금도 교직에 있는 그 제자는 기억 속에 남아 배려라는 것이 무엇인가를 몸으로 느꼈기에 실천하고 있다는 것이다.

배려야말로 신뢰감이 그 바탕을 이룬다. 학생에 대한 배려는 학생들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는 관점에서 출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아이들에게 물음을 통하여 나의 지도가 과연 어떤 변화를 이루고 있는가를 끊임없이 확인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