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교육은 확인하는 것이다

지금 이 시간에도 한국교육은 많은 문제와 맞서고 있다. 열정으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바른 길을 걷게 하려고 노력하는 선생님이 많지만, 또한 각종 교직원 비리가 뉴스를 장식하기도 하고 학교폭력 문제도 미해결의 과제로 남아있다. 우리 아이들에게 가장 좋은 교육은 무엇일까? 학년이 바뀌면서 학부모가 원하는 것은 무엇일까? 아마도 수요자의 입장에서는 좋은 학교라기 보다는 좋은 선생님을 원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아이들이 원하는 것은 개인에 따라 집단 수준의 성격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난다. 문제가 많은 세상이지만 선생님은 신나게 가르치고 싶고, 학생은 의미있는 학습을 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우리 교육 현실은 달라질 것이다.

학생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묻는 질문을 받는다면 첫째로, 어려운 과목을 쉽게 자세히 가르쳐주길 원한다는 사실일 것이다. 한 제자는 수업평가서에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사회 선생님께선 우리가 졸업하는 날까지 무한한 정성을 쏟으셨다. 수업 한 시간 한 시간마다 사회 수업에 도움이 되는 많은 자료를 밤늦게까지 녹화하시면서, 그 자료 테잎을 우리에게 선사하신다. 어려운 사회 수업을 좀 더 쉽게 가르치기 위해서, 머리에 오래 기억될 수 있게 신문보도 자료를 스크랩해서 화상기에 비춰주시면서 하나하나 설명해 주신다." 아이들의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교사는 한마디로 노력이 따라야 한다.

둘째, 아이들은 자기에게 관심을 가져주는 선생님을 원한다.
"처음 내게 관심을 가져주시며 수업을 가르쳐 주신 선생님, 다른 선생님들과는 달리 매사가 꼼꼼하시며 시험을 본 후 그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사회학습 노트장’을 만들어 예습과 복습을 내주셨던 선생님, 이런 식의 수업이 왠지 어색하고 처음이어서 매일 숙제만 내주시는 선생님이 싫어질 때도 한 두번이 아니었다. 하지만 이제야 알 것 같다. 사람들은 누구의 곁을 떠날 때 철이 든다고 하던데 내가 바로 그런가 보다."  그런가 하면, "선생님은 나에게 조금도 관심을 가지시지 않고 다른 애들에게만 관심을 보이는게 너무 싫어서 수업을 듣지 않기도 하였다. 선생님이 나에게 조금만 더 관심을 가졌다면 공부를 더 열심히 했을텐데…" 하는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는 사실에 잊지 말아야 대목이다.

셋째, 교육은 확인하는 것이다.
똑같이 가르쳤어도 학생들은 각자 자기 수준에서 받아들이기에 차이가 난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그 결과를 확인하는데 시간을 더 많이 필요로 한다. 한 학생은 "선생님께서 <자주학습장>을 하루씩 검사를 받을 땐 별 생각이 다 들었다. “요즘 너무 날 미워하는 것 같아, 항상 나만 시키고… 물어보고 남으라고 하고-” 이런 생각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금 생각하면 너무나 철이 없었던 것 같다. 만약 이런 선생님의 정성이 없었다면 난 아마 이만큼 성장하지 못했을 것이다. 선생님 덕분에 사회에 대해서도 조금 알게 되었고, 정말 많은 것을 나에게 주신 것 같다."고 고백하는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