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 은행이나 증권사에서 파는 MMF(머니마켓펀드) 상품에 여유 돈을 맡겼던 개인 고객들 중에는 돈을 찾지 못해 발을 구르는 이들이 꽤 있다.
MMF는 예금보호를 받는 상품은 아니지만 고객이 맡긴 돈을 투신사가 주로 채권으로 굴려 안전한 편이다. 게다가 언제든 돈을 자유롭게 넣고 뺄 수 있으면서도 단 하루만 맡겨도 은행 정기예금 수준의 이자를 준다.
증권에 투자하거나 다른 데 곧 쓸 일이 있어서 정기예금에 넣어둘 것은 못되지만 당장은 여유가 있는 돈을 넣어두기에는 요즘 같은 저금리 시대에 안성맞춤이다. 재테크의 기본 원리라고 할 수 있는 수익성, 안전성, 환금성을 두루 갖춘 상품인 셈이다.
그렇게 믿을 만하던 MMF가 고객의 발등을 찍었다. SK글로벌이 회계장부를 조작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SK글로벌이 발행한 회사채에 투자했던 투신사 MMF 펀드의 손실 가능성이 부각됐기 때문이다. 엎친 데 덮치기로 신용카드 회사 채권의 부실화 가능성까지 제기되면서 채권시장이 얼어붙었다.
급기야는 SK글로벌 채권이 편입된 MMF 펀드 가입자들은 환매 제한 조치까지 당하기에 이르렀다. 몇 천만 원을 맡긴 고객 같으면 맡긴 돈을 일시에 찾지 못하고 채권시장에서 해당 펀드 편입 채권이 팔리는 대로 펀드 가입 액에 비례해 몇 10만원, 몇 100만원씩 돌려 받는 실정이다.
MMF 환매제한 조치에 놀란 고객들은 요즘 돈을 짧게 굴리되 원금이 보장되는 안전한 금융상품으로 몰리는 추세다. 그 대안으로 MMF와 비슷한 은행권 시장금리부 수시입출금식 예금(MMDA), 종금사들과 일부 은행이 파는 어음관리계좌(CMA)나 발행어음, 증권사에서 판매하는 환매조건부 채권(RP)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SK글로벌 파문 이후 투신사 MMF로부턴 20일간 22조원 이상이 빠진 반면 이들 대안 상품엔 10조원이 몰렸다. 그 중에서도 돈이 가장 많이 몰리는 상품은 단연 MMDA다. MMDA는 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는 수시입출금식 예금이다.
고객이 MMDA 상품에 맡긴 돈을 주로 만기 하루 짜리 금융기관간 대출(콜이나 기타 단기 대출)에 굴리므로 회사채 등에 투자하는 MMF보다 훨씬 안전하다. MMF보다 수익률이 다소 떨어지지만, MMF처럼 하루만 맡겨도 최고 연 3%대의 금리를 준다는 점이 매력.
다만 예치 잔액 500만원 이하는 이자가 없다. 통장 잔액이 많을수록 이자를 많이 주는 차등금리제이므로 잔고를 500만원 이상 유지해야 유리하다. 금리는 4월 초 하나은행 기준으로 3000만원 미만은 연 1%, 5000만원 미만 2%, 1억원 미만 3%, 1억원 이상 3.8% 미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