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조금 있으면 대입 수험생들이 수학능력시험을 보게 된다. 그런데 대학을 못 가는 게 아니라 일부러 가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최근에 명문대를 자퇴한 학생이 나오는가 하면 거의 대부분의 학생들이 수능에 목을 메고 있는데 대학교가 서열화돼 있고 서열화된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서 입시 경쟁을 하고, 졸업한 다음에 출신 대학에 따라 다른 대우를 받는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고 생각을 하여 시험을 거부하는 학생도 있다.
한 학생은 "내가 굳이 대학에 가서 공부를 해야 하나, 이 생각부터 시작해서 딱히 끌리는 대학도 없고 끌리는 과도 없고…."라면서, 대학교에 입학할 마음은 없지만, 앞으로도 여러 인문학 분야를 계속 공부할 생각이라고 자기 소신을 밝혀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장래 희망을 묻자 한 학생은 "장래 희망은 앞으로 10년 동안은 죽어라 공부하는 거…."란다. 이처럼 공부하기를 원하면서도 대학교는 반드시 가야 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사람만 가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들은 자신의 꿈을 실현하는 방법은 다양하다는 것을 직접 몸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런가 하면 아직도 머리를 싸매고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장래 희망하는 직업이 뭐냐고 물으면 10개 정도의 직업군에 머무르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는 30년전 부모 세대들의 성장기와 삶을 통하여 체득된 직업관의 영향이 아닐까 하는 점이다. 이제 이런 직업군은 이미 경쟁의 포화 상태임을 직시하는 일이다. 그리고 앞으로 새롭게 생겨나며, 남이 하지 않는 것에 관심을 가져 볼 필요도 증대하고 있다.
공부에 취미를 붙이지 못한 학생들은 "공부가 인생의 전부는 아니다. 공부보다는 내가 하고 싶은 걸 하고 싶다." 고 항변한다. 맞는 말이다. 그렇다면 정말 하고 싶은 게 뭔데? 물으면 대답을 얼버무린다. 인생의 기초가 제대로 잡히지 않았으면서도 단순하게 질문의 순간을 회피하여 넘기려는 젊은이들이 너무 많다. 이같은 이들을 깨우쳐 공부의 물가로 인도하는 일은 정말 땀이 나는 일이다. 그래도 지식 기반사회에서 살아 남는 일은 공부하는 길 밖에 없다. 다양성의 연린 세계무대에 미래를 짊어질 10대들의 생각이 여기에 머무른다면 우리의 희망 찾기가 힘들거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