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찌기 영국의 극작가 서머싯 모옴은 '독서하는 사람이 즐기는 특징은 그것이 노년에 가서도 즐길 수 있는 좋은 정신적 스포츠라는 점이다.'라고 말하였다. 이같이 독서를 스포츠에 비유할 수 있다면 스포츠란 노인이 되어서보다도 젊어서 더욱 열심히 해야 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일상생활에 필요해서이건, 직책상의 필요에서이건 그 일을 잘 해나가려면,그리고 학생의 경우라면 공부를 잘 하기 위해서 먼저 그 일에 대한 풍부한 지식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이같은 풍부한 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역시 독서가 최고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성공한 사람들은 한결같이 책을 가까이 했다는 사실이다. 세종대왕과 이순신, 나폴레옹 처칠, 에디슨에서 오늘날의 빌게이츠까지 책을 가까이 하지 않은 사람은 찾아보기 힘들다. 그들은 책 속에서 길을 찾고 힘을 얻었다.
빌 게이츠는 “오늘의 나를 키운 것은 어린 시절 살던 동네의 ‘작은 마을 도서관’ 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훌륭한 독서가가 되지 않고서는 참다운 지식을 갖출 수 없다. 그는 지금도 평일에는 최소한 매일 밤 한 시간, 주말에는 서너 시간씩 책을 읽고, 이런 독서 습관이 나의 안목을 넓혀 주었다.”고 고백한 바 있다. 오프라 윈프리도 “저는 책 속의 주인공들의 삶과 도전을 보며 어려웠던 시절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을 얻었다. 책이 제 인생을 바뀌게 해 준 것이죠.”라고 토크 쇼에서 자신있게 말한 바 있다.
공부할 시간도 없는데 책 읽을 시간이 어디 있느냐고 학생도 있을 것이다. 학교 공부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이 바로 독서이다. 왜냐하면 학습 능력은 어휘력과 이해력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독서를 많이 하지 않은 학생은 어휘력이 부족하게 되고 어휘력이 부족하니 책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학습능력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서울대 신입생 중 초등학교 때 1000권 이상의 책을 읽었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95%인 것도 이런 맥락이다. 책을 많이 읽어야 공부도 잘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어느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공부를 잘 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사람은 먼저 독서계획부터 세워 볼 일이다.
또한 독서는 타임머신 없이 선인의 지혜를 배울 수 있게 해주며 청소년의 자아 형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공부 잘하게 만들어 주고, 자기 자신의 내면을 성숙하게 만들어 주는 도구 책. 독서를 열심히 한 학생들은 책을 통해 세상을 읽고, 사람을 읽고 행복하고 풍요로운 인생을 살아갈 수 있으리라 생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