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변화가 무쌍하다. 사회변화 가운데 교육도 많은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 쌓여 있다. '교육은 백년지대계'라는 말이 무색할 만큼 그간 우리 교육은 수시로 변화의 길을 걸어왔다. 그 속에서 많은 이들이 혼란을 거듭하며 피로감을 느끼는 것도 부인하기 어렵다. '전 국민이 교육 전문가'를 자처하는 우리 사회지만, 과연 우리 교육은 어디로 나아가고 있는 것일까? 다양성을 존중한다는 이름 아래 이뤄지는 개혁과 혁신이 과연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고 있는 것일까? 수많은 의문이 쉬 사그라지지 않는 가운데 영국의 교육 현실을 진단한 '위기의 학교'는 우리에게 많은 생각할 거리를 제공해 준다.
이 책은 지난 20여 년 동안 진행된 영국의 교육개혁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 어떤 모습으로 펼쳐졌는가를 생생하게 담고 있는 취재 보고서이다. 책은 1999년 9월부터 2000년 7월까지 아홉 차례에 걸쳐 영국의 일간지 '가디언(Guardian)'에 연재됐던 탐사 보도 기사를 보완해 만들어졌다고 한다. 저자 닉 데이비스의 메시지는 분명하다. 그는 많은 혼란에도 불구하고 영국의 교육이 실패한 이유로 `가난'을 든다.
영국 교육에 침투한 '경쟁과 시장의 논리'에 따라 학부모와 학생은 일류 학교를 선택하고, 이류나 삼류로 전락한 학교들은 학생을 유치하기 위해 고군분투해야 했다. 그러나 삼류 학교에 진학하는 학생들이란 더 좋은 학교에 갈 수 있는 가정환경이 안 되거나, 교육에 대한 열정이 없거나, 다른 학교에서 문제아로 분류돼 퇴학당한 학생들이 대부분이다. 이 학생들과 함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삼류 학교들은 눈물겨운 노력을 해야 했지만, 결국 학생과 학교는 교육 시장에서 외면 받고 마지막에는 사회에서 도태되고 말았다는 사실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우리나라의 경우도 고교선택제를 실시해도 좋은 학교는 문제가 없지만 그렇지 못한 많은 학교는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과제가 남아 있으며, 일본의 경우도 이같은 문제는 똑같은 과제를 남기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정부의 정책과 높은 등록금에 힘입어 나날이 발전하는 사립학교에 비해 공립학교는 그 반대편에서 점점 더 나쁜 수렁으로 빠져 들어갔다.
이같은 경쟁체제 속에서 너무도 당연하게 편법과 술수, 부정행위, 비상식적 행동 등이 난무한다. 이러한 사실의 추적 끝에 저자는 교육정책을 정치적 이해에 따라 희생시켜서는 안 되며, 사회 계층 간 격차를 줄이기 위해 지역 간 불평등과 재정 투자 부족으로 인한 학교 현장의 황폐화를 막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가난한 이들에게 더 많은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불평등한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런던대 교육연구대학원에서 연구 중인 옮긴이가 책머리에 언급한 우리 교육의 한 단면이 새삼 새롭게 다가온다. `부의 양극화에 따른 교육의 양극화'라는 중요한 문제는 정작 외면한 채 온 사회가 지엽적인 부분에만 매몰돼 있는 것은 아닌지…. 과연 우리 교육의 미래가 어떤 위험에 처해있는지, 정작 중요한 문제는 무엇이고 보다 다수가 혜택 받는 정책이 무엇인지 영국의 사례를 반면교사 삼아 곰곰이 생각해볼 일이다.
지금 상당수의 전문계 학교나, 농어촌 학교에서는 교육하기가 힘들다고 아우성이다.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절반이 공부하는 전문계 고교에서는 어떤 교육이 이뤄지고 있는가? 그곳에 재학하는 아이들의 '희망과 미래는 무엇일까? 이 관심거리에 더 많은 에너지를 쏟아야 한다. 한 학생 한 학생이 중요한데 이들에 대한 교육을 소홀히 하면 이는 앞으로 우리가 포기한 만큼의 큰 짐을 져야 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