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언어생활 무너지면 정신세계가 황폐화 된다

어느 날 늦은 오후 초등학교 학생들이 하교하면서 재잘거리는 소리를 들었다. 천천히 들어봤더니 바이올린 수업을 하는 특기적성 과목 여 선생님에 대한 이야기였다. 상화을 들어보니 그녀는 키가 작은 편으로 목소리도 작은 편인데. 아이들은 자기들끼리 그를 “존만한 X”이라고 부르면서 이야기를 했다. 욕을 한 아이는 지나가는 “담탱이(담임 선생님)한테 걸려 많이 혼났지만 재미있었다”고 했다.

한 초등학교 부근 가게에서 떡볶이를 먹고 있는 3명의 아이(6학년)는 단짝 친구. 방과후엔 늘 함께 지낸 사이로 쉴새 없이 떠들었다. “X새끼, 존니 쳐먹네, X발!” “존나 맛있다, X발!” 주위 사람은 안중에도 없다. 가게 주인에게 물었더니  “요즘 애들이 다 그렇지, 뭐.” 하면서 주인 아줌마도 덤덤하다.
 
“친구에게 욕하면 쓰냐”고 말하자  “왜요, 왜요? 맨 날 쓰는데… 재미있잖아요.” 하는 반응을 보였다. 지금 아이들의 세계는 ‘욕하는 것이 재미로 느껴지는 세상'이다. 아이들은 그냥 말하는 법이 없다. 호칭과 부사, 끝말은 모두 욕이다. 남학생이 더 심하다. 그러나 여학생은 속도가 빠르다. 좋아도 “존니 좋다.” 친구는 무조건 “X새끼” “개새끼” “미친 새끼” 다. “재미있고 멋있어서”가 이유다. 욕을 하는 아이도, 듣는 아이도 낯빛 하나 변하지 않는다.

평범한 초등학교 6학년에게 알고 있는 욕을 물어봤다. 망설이더니 “X같네, X발, 싹스, 창년아, 개새끼, 존니, 존나, 졸라, 지랄…” 끝없이 이어졌다. “더 재미나고, 무섭고, 신나는 욕이 있는데 생각이 안나요.” 휴대폰이 울렸다. 친구와 통화가 욕으로 시작을 내었다. 하지만 집에선 절대로 욕을 하지 않는다.

한번은 엄마와 함께 시장에 다녀오다 욕하는 초등학생을 보았다. “넌 욕 안 하지? 저 이이는 문제아인가 봐.” 딸 아이는 속으로 ‘휴~ 살았다’고 생각했다. 한 여학생은 “욕을 안 쓰면 친구들과 이야기가 안 된다”고 답했다. 영화 드라마 라디오 등 대중 매체들이 욕을 ‘가볍게’ 권하고 있다. “X발, 존나” 등은 영화의 재미를 살리는 양념이고, 라디오 DJ의 욕은 진행을 위한 윤활유로 통한다니..
 
이러한 반응에 대해 교사들은 속수무책이다. “예전 아이들도 욕을 했죠. 화나고 짜증날 때 그랬어요. 야단치면 잘못을 인정했죠. 요즘엔 달라요. 욕의 의미가 약해진 대신 일상어처럼 된 거죠. 나무라면 ‘왜요, 왜요?’ 되물어요. TV나 영화에 다 나왔다” 고 변명을 한다. 접근이 쉬운 대중매체는 ‘욕의 평준화 시대’를 열었다. k유치원 한교사는 “바보, 멍청이 정도만 알던 아이가 어느날 갑자기 어른이 하는 욕을 하길래 물었더니 전날 부모랑 본 영화 때문이더라”라고 했다.

남보다 튀기 위한 ‘욕 경쟁’도 일상사다. 한 6학년 여학생은 “멋진 욕을 배우기 위해 중학생 언니들과 친하게 지낸다”고 했다. “멋진 욕을 배워오면 여학생들에게 인기를 끈다”는 남학생도 있었다. 인터넷 역시 주범이다. 초등학교 입학 후 또래집단을 형성한 아이들은 온라인 게임과 채팅 문화를 통해 욕을 학습하고 실생활에 응용한다. 어릴 때 버릇은 나이가 들더라도 떨어지지 않는다.

아이들이 언어습관을 교정할 시기를 놓친다는 것도 문제다. 그들의 욕은 또래집단과 인터넷, 익명의 울타리 안에서 활개친다. 부모와 담임 교사는 모르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야단맞을까 봐” 하지 않기 때문이다. 부모들도 이 사정을 잘 모른다. 형제가 없으니 집에선 욕을 쓰지 않는다. 그러니 학부모들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 ‘욕설 매체’는 넘쳐 나는데 교사는 힘이 없다. 언어폭력에 대한 교육을 교육과정에 맞춰 실시하면 그때 뿐이라고 하소연을 한다. 부모와 사회가 돕지 않는 한…

우리 아이들은 모두가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고 행동한다. 언어생활은 가르쳐서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반복하는 가운데 습득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이들은 학교보다 학교 밖에서 많은 것을 배운다. 인터넷, 대중매체 등 아이들의 의사소통 네트워크가 넓어지면서 언어교육을 담당할 주체가 사라졌다하여도 과언은 아니다.

학교는 힘이 없고, 가정은 무지하며, 사회는 무책임하다. 관심을 갖지 않으면 우리의 언어생활은 무너질 것이다. 무너지면 홍수가 나 수해를 입듯이 우리의 정신 세계도 황폐화 될 것임에 틀림이 없을 것이다.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할 지 해결방안은 없는 것인가 고민하는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