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수십 년간, 대학 입시 제도가 변경되어 실시 되었지만, 단 한 번도 교육의 목표와 목적을 달성한 경우는 없었습니다. 시대가 바뀌면 제도도 따라서 바뀌어야 하지만, 절대로 변하지 않은 것은, 우리 국민들의 학벌의식입니다. '최소한 대학은 졸업해야 사람 구실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 수험생들은 좋은(?) 대학에 진학하려고 어머니 뱃속에서부터 준비합니다.
교육정책 입안자들께 묻고 싶습니다. 정말로 우리나라 교육발전을 위해서 정책을 만듭니까? 정말로 현장교육을 제대로 파악하고 정책을 만듭니까? 이번 개편안이 정말로 입시생들의 학습부담이 줄고, 사교육이 줄고, 학부모의 부담도 덜어준다고 생각하십니까? 천부당만부당합니다. 오히려, 그 반대 현상이 극심하게 나타날 것입니다.
교육정책 입안자들께 제안합니다. 진정으로 우리나라 교육을 위한다면 단편적이고, 말초적인 정책, 현실을 무시한 탁상공론, 보이기 위한 정책은 그만하시고, 말 그대로 100년을 내다보는 정책을 세워 주십시요.
교육부를 중심으로 타 기관들과 연계하여 대학 졸업장이 없어도, 경력과 경륜이 쌓인다면, 임금격차, 진급 불이익, 사회적 편견이 존재하지 않는 그런 교육정책을 만들어 주십시요.
대학은 학문을 하고 싶은 사람만 진학하고, 진학하지 않아도, 불편 없이 살아 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 주십시요. 그렇게 된다면, 누가 머리 싸매고, 대학가겠습니까? 사교육은 저절로 없어집니다. 학부모 부담도 없어집니다. 교육의 질도 높아집니다. 사회적 합의와 의식 전환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겠지만, 불가능하지는 않습니다. 진정으로 우리나라 교육을 생각하신다면, 이제, 현실을 무시한 제도는 그만 좀 만드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