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급 학교에서는 가을을 맞아 학생 체력검사를 실시했다. 스포츠 강국답게 부쩍 커버린 체격에 새삼 경이로움을 느꼈다. 하지만 커진 덩치에 비해 점차 약해져 가는 청소년들의 체력이 올 검사에서도 어김없이 확인됐다.
학교에서 실시되는 체력검사가 검사 그 자체로 끝나므로 해서 체력검사에 최선을 다하지 않는 학생들의 자세나 태도에도 문제가 있지만 입시나 정보화에 밀려 아이들의 체력이 날로 약해지는 듯하다.
우리나라는 88서울올림픽을 기점으로 스포츠의 과학화와 엘리트 선수의 체계적인 육성을 통해 스포츠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높여왔다. 그러나 이제는 일반 국민들의 체력 향상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다. 엘리트 체육과 생활체육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정책이나 제도 마련이 시급하다.
청소년기에 다져진 체력은 평생을 살아가는 소중한 자산이 된다. 하지만 우리 청소년들은 늘 뭔가에 쫓기며 산다. 등하굣길이 짧아도 버스나 승용차를 이용하면서 가장 기본적인 걷기 운동조차 하지 않는다. 제7차 교육과정은 그나마 학교 체육시간마저 줄여 놓았다.
건강한 삶을 누리기 위해서 청소년기의 체력 향상은 필수적이다. 청소년들은 자신의 심신을 돌볼 틈이 없다. 국가가 정책과 제도로 뒷받침해 주어야 한다. 그 일환으로 고입, 대입 시험에 체력장을 다시 부활했으면 한다. 체력은 국력이란 말만 하지 말고 작은 것부터 실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