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learning은 말 그대로 전자적인 기술(e)과 교육(Learning)이 합쳐진 것으로 기술기반(Technology) 교육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인터넷과 같이 최근에 등장한 개념으로서 일반적으로 온라인 교육, 사이버 교육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e-learning은 인터넷을 통해 교육자와 피교육자, 교육관리자, 컨텐츠 및 교육서비스 제공자가 연결되는 네트워크 기반의 교육으로서 교육과정의 설계, 컨텐츠 개발, 교육실행 등 일련의 과정이 인터넷을 통해 이뤄지게 된다.
온라인 교육은 시간적·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으며, 교육비용이 저렴하고 획일적 교육에서 탈피해 개인의 수준과 필요성에 따라 다양한 교육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교육은 교육적 차원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차원에서도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이 e-learning을 미래 국가경쟁력의 핵심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우리 정부도 이를 부가가치가 높은 미래산업으로 중점 육성하려 하고 있다.
국내에서 온라인 교육이 도입되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국내에 인터넷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1996년부터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교육에 대한 관심이 커졌으나, 관련 인프라의 부족으로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1999년 이후 교육기관과 기업의 인터넷 관련 인프라가 확충되고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 확산으로 인터넷 기반의 온라인 교육이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온라인 교육은 초기에 IT, 어학, 자격증 등 자기개발에 필요한 성인대상 교육에서 시작해 초·중·고교생을 대상으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으며, 최근에는 기업체의 직원 교육에까지 확산되는 추세이다. 국내 e-learning 시장은 2001년 한해 시장규모가 1조 2천억원 정도로 추산되며 정확한 예측이 어려울 정도로 급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e-learning은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급속한 발전을 이루어왔으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해결해야할 과제들도 많다. 이중 가장 시급한 문제는 기술표준의 확립 문제다. 현재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이 각자의 시스템을 기반으로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서 상호호환성이 부족하고 컨텐츠의 재사용도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수년 전부터 선진국을 중심으로 국제적인 e-learning 기술표준을 제정하려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AICC, IMS 등 몇 개의 기준들을 통합한 차세대 기술표준 'SCORM'이 준비중이며 앞으로는 이 표준에 의해 e-learning이 발전하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도 산업자원부를 중심으로 기술표준안 마련을 준비 중인데 이것 역시 SCORM 표준을 따르게 될 전망이다.
현재 국내에는 SCORM 표준을 충족시키는 e-learning 시스템을 구축한 사례가 없으며, 드림교육이 개발하고 있는 부산과학영재학교 원격교육시스템이 국내 최초의 시스템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시스템은 11월에 개발이 완료될 예정으로, 몇 달간의 테스트를 거친 후에 교총 정보화사업 시스템에 도입될 계획이다.
또한 산업자원부가 추진하고 있는 e-learning 표준화 프로젝트에는 메디오피아 테크날러지가 주관사업자로 선정돼 작업을 추진 중이다. 이처럼 교총이 추진하는 교육정보화 사업에는 국내 최고의 기술을 가진 업체들이 참여하고 있다.
아무리 기술발전이 이루어져도 학교가 지니고 있는 모든 기능을 대체할 수는 없다고 본다. 그러나 IT의 발전은 학교교육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할 것이다. 이번에 추진되는 사업의 바탕에는 새로운 21세기 교육모델과 학교교육체제를 구안해 보자는 의도가 담겨 있다.
우리나라의 IT기술은 세계적 수준이며, 초·중등교육도 외국에서는 매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인프라를 잘 활용한다면 새로운 시대의 교육은 우리가 선도할 수도 있을 것이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