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일본에서 부모를 살해하는 행위가 증가하여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후쿠시마현립고교 3학년 소년(17세)이 어머니를 살해, 머리 부분을 가지고 자수한 사건은 급증하는 부모 살해사건과 엽기적인 살인이라는 두 가지 면을 함께 가지고 있다. 소년은 왜 모친을 죽였는가? 최근에 보이는 부모와 자식 관계의 변화를 검증하면서 그 배경과 동기를 살펴보았다.
소년에 의한 부모 살인, 살인 미수 사건은 2005년에 17건으로 급증하여, 최근 10년에 최악의 수치를 기록했다. 왜, 부모를 살해하는데 까지 발전하는 것일까? 또한, 이번 사건과 이 경향은 관련이 있는 것일까. 가족과 자녀교육에 있어서의 문제 상담에 응하는 “가정문제 정보 센터”의 사무국장은 “부모와 자식 간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져서 부모가 자식에게 지나치게 기대를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도시부, 지방 상관없이 전국적인 경향이다”라고 지적한다.
“10대 중반의 자립하는 시기에 간섭이 지나치면 거부감이 표출된다. 한편 부모는 가만히 지켜보는 자세가 결여되어 있다 「너는 안 돼」라는 등 전부 부정하면 자존심이 상해서 부모에 대한 폭력으로 표출될 수가 있다”라고 말했다. 작년 6월에 나라현의 고교 남학생이 모친 등 세 사람을 불살라 죽인 사건에서는, 의사인 아버지에 의한 압력이 원인이 되었다. 부친은 사건 후 “의사가 되는 것이 행복으로 이어진다라는 나의 가치관을 억지로 밀어 붙여서, 극한 상태에 까지 몰아치고 말았다.”라는 담화를 발표했다.
“등교거부를 생각하는 전국 네트워크” 대표는, 부모에게 불만을 가진 어린이가 늘어난 것을 직감하고 있다. “부모학의 필요성이 부르짖어지고 있는 것처럼, 부모는 자식 길들이기에 정신적인 압박을 느끼고 있다. 아이의 마음을 생각지 않고 어른의 관점에서 「이러해야만 한다」라고 압력을 가하기 십상이다.”라고 말한다. 한편 아이는 사회나 학교에 대한 불만을 자기와 관계가 깊은 사람에게 터뜨리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저출산화로 자식에게 부모의 관심이 집중 되었다”라고 보는 것은 kgtp가와 도카이학원대 대학원 교수(임상심리학)이다. “소년은 부모나 교사의 기대에 어긋나지 않게 하려고 하는 한편, 마음 속 깊은 곳에서는 증오와 원한이 축적되어, 마음이 이중구조로 되어 있었을 지도 모른다. 모친의 생일날이라는 기념일에, 자신을 재정립하고 싶다라는 심리가 작용하여, 감정이 단도직입적으로 나타난 것이 아닐까”라고 추측하였다.
전 가정재판소 조사관으로 NPO법인 “비행 극복지원센터” 부이사장인 아사카와씨는 “자식에 의한 어머니 살해는 일종의 자살 행위이다. 현 상황이 견디기 어렵고, 자신을 완전히 없애버리고 싶었을지도 모른다. 자기의 성장 과정의 근원인 모친을 포함하여 자기 부정을 하려고 한 가능성도 있다”라고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