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교육 활동 가운데 가장 특징적인 것 가운데 하나카 클럽활동이다. 한 지방의 중학교에서 야구부부 고문을 맡는 남성 교사(31)는, 주말도 거의 쉬었던 적이 없다. 토일요 일요일에 연습 시합을 짜면, 아침 7시 반부터 저녁 5시까지 구속된다. 오프 시즌의 겨울도 방과후는 거의 매일 연습이 있어 학교에 얽메이게 된다. 이따금 2살의 딸하고 노는 것이 유일한 숨돌리기다. 야구는 중학생 시절밖에 하지 않았지만, 전임교에서는「젊으니까 」라는 이유로 야구부의 주 고문을 맡았다. 「시합에 져서 보호자로부터「감독의 지도가 나쁘다, 더 열심히 하면 좋겠다」라고 꾸중을 받은 적도 있다」 는 것이다.
원정 시합의 경우 교통비는 지급되지 않고, 모두 자기부담이다. 휴일의 활동 수당은 4시간 이상 일해야 1200엔 정도이다. 동아리동 중에 한 눈을 팔아, 학생이 상처를 입으면 학생관리 부실로 책임을 추궁 당할 수도 있다. 이 일은 적당하게 가벼운 기분으로 감당해내는 일은 아니다. 「동아리의 의의는 인정하고 있고, 가능한 한 지도도 하고 싶다. 그러니까 적어도 보상을 충실하게 해주면 좋겠다」라고 남 교사는 호소했다.
교원 채용의 억제로, 동아리를 맡는 신진 교원의 수가 줄어 든 만큼 개인의 부담이 늘어나고 있다. 「토일요일에 동아리를 하지 않으면 동료나 보호자, 학생으로부터까지 열심이지 않다고 말해진다」,「현 전체로 토요일은 동아리를 쉬는 것으로 정하면 좋겠다」. 현 교직원 조합 청년부가 작년 여름엥 22~32세의 초중학교의 교사등 약 2400명(회수율 55%)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는, 이런 비통한 소리가 전해졌다. 동아리의 의의는 인정하면서도, 자원봉사로 지도하는 것의 한계를 호소하는 소리가 눈에 띄어, 「동아리보다 수업으로 승부할 수 있는 교원이고 싶다 」라고 하는 소리도 많았다.
설문에 의하면, 이 연령대에 동아리를 지도하고 있는 교원은 86·4%이다. 대부분이 토,일요일 반납하면서 근무한다. 「토,일요일은 활동은 안한다」는 불과 5·5%이며, 「토일요일에 한정하지 않고 활동 휴지일은 있다」도 40·5%에 머무른다. 현 교직원 조합의 하시모토화사 집행위원(35)은「옛부터 동아리는 모순을 안고 있었다. 최근에, 지역형의 스포츠 클럽의 성공 사례도 나왔기 때문에, 교직원의 동아리의 부담을 경감해, 학교 본래의 역할인 학습면의 확보를 제일로 생각해야 하는 것이라는 소리가 강해지고 있다」라고 이야기한다.
「젊다 」라고 하는 이유만으로, 자주 지도할 수 없는 분야의 고문을 맡아 고민하는 교원도 적지 않다. 니가타단기대학부의 한 조교수(53)는, 현내 69개 중학교의 농구부 지도자 9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그 결과, 활동이 왕성하고 경기 수준이 높은 농구조차, 경기 미경험은 31·4%를 차지했다. 타카야마 조교수는「미경험자는 학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충분히 도모하지 못하고, 신뢰 관계를 쌓아 올리는 것이 어렵다. 보호자로부터도 말 참견이 많으니 동아리 지도를 하고자 할 마음이 생기지 않는다. 부담은 상당히 클 것이다」라고 걱정한다.
니가타대교육 인간과학부 교원 양성 코스의 학생은, 동아리의 지도에도 의욕적이다. 「장래는 교원으로서 동아리동의 고문을 한다」라는 하는 자각을 가지고, 경험이 없는 스포츠에서도 지식을 몸에 익히려고 노력하는 학생이 많다. 스포츠 지도자 등의 연구를 하고 있는 동학부 모리 준교수(42)는, 「동아리를 열심히 지도해야 하는 제도상의 근거나 의무는 없다. 열심히 해도「선생님의 개인적인 취미」로 정리할 수 있어 버린다. 지도자의 대우와 동아리에 기대하는 교육 효과를 명확하게 나타내 보여야 한다」라고 지적한다. 교원에 대신하는 외부 지도자나 동아리에 대신하는 지역형 스포츠 클럽 등, 「학교외」에 스포츠 활동을 맡기는 움직임은 향후 한층 더 가속한다고 보여지고 있다.
중고생에 있어서「제2의 수업」이라고도 말할 수 있는 동아리 활동이 이처럼 크게 바뀌려 하고 있다. 저출산, 진학열, 지역 스포츠 클럽 인기 등을 들수 있다. 그러나 아직도 일본의 교사는 피곤한 상태이다. 좀처럼 바뀌지 않은 것이 오랫동안 형성되어 온 학교의 문화, 지역의 문화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