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들이 입학생 수의 감소로 학생 확보에 고심하고 있는 가운데 교수님이 담임을 맡아 지도하도록 하는 대학이 있어 주목을 끌고 있는 것이다. 관서 지방 니시야마시에 있는 한 대학에서는 담임제 역할을 잘 수행하도록 연수회를 연간 30회에 걸쳐 실시한다. 1학년 생을 20인 정도의 규모로 나누어 리포트 쓰는 법과 발표하는 방법 등을 가르치고 있다.
이 대학은 이러한 제도를 2005년부터 실시하고 있다. 2007년도 첫 1박 2일 연수회에서는 "요즘 왜 대학에서 배우는 지를 모르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다"면서 학생 생활 지도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담임이 학생들의 마음을 파악하도록 수준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라고 강조한다.
최근에 들어와 학생들의 경향은 교수의 이야기에 반응이 둔해지면서 도중에 학교를 그만두는 학생도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모든 학생들이 무엇인가를 얻을 수 있는 대학으로 만들고자 고심하여 이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학생들은 대체로 목적 의식이 없이 대학에 입학하거나 성공한 경험이 별로 없고 자신감이 없는 것이 특징이므로, 이들에게 학생이 안심할 수 있는 장소가 대학이 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심리,사회학적 관점에서 인재를 육성하는 멘탈링 이론을 배우는 연수회를 개최한 것이다.
주요 연수는 "어떻게 사람의 마음을 이해할 것인가?"등을 중심으로 14시간의 강의와 토론 후에 4개의 팀으로 나누어 성과를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 가운데는 교수들의 입에서 "잔 재주에 불과한 지식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인생의 선배로서 교원 자신이 살아가는 태도를 말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결론이 보이는 수업은 없애야 한다"라는 등의 의견이 나왔으며, 이 대학의 부학장은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 인간이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많다라는 것을 가르쳐 주시 위해서 학생들과 마음을 열고 통하고 싶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