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일본 정부의 교육개혁 중심에 있는 교육재생회의(노요리 료우지 단장)가 검토하고 있는 대학·대학원 개혁에 관한 제언 초안이, 대학 관계자들에게는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동일 대학이나 동일 학부로부터의 대학원에의 진학자(내부 진학자)를 제한하여, 대학원을 대학과 분리해 활성화 시키는 것이 목적으로「대학의 구조를 바꾸는 과격한 내용」이라고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초안은 대학원의 연구 강화를 주 목표로 하는 노요리 단장이 작성한 것으로 대학원이 한 마디로「지극히 좁은 영역의 연구 지도에 치우쳐 있다」라고 해, 이같은 주된 요인은「학부와의 연속적인 종적 관계 구조」때문이며 동일 학부의 4학년이「독차지」하고 있다는 견해이다. 이공계에서 대학원생의 8할 이상이 자기 학교 출신자가 차지하는 현상에 대해서「타 대학이나 타 분야에 넓게 문이 열리고 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라고 지적한 것이다. 내부 진학자를 최대 2할 정도로 제한하여 타 대학의 학부생이나 유학생이 자유롭게 대학원을 선택해 경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같은 제언의 배경에는 일본의 대학이「강좌제」에 의해, 「교수와 학생의 담합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라는 반성에 기인한다. 이 때문에, 교양교육을 담당하는 대학과 전문 교육을 실시하는 대학원을 명확하게 구별하는 미국을 참고로 한 것이다.
단지, 내부 진학자의 제한에 대해서는 학생으로부터 불만이 나오는 것이 예상되는 것 외에 대학측으로부터도「시간을 들인 인재 양성이 저해된다」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또, 제한을 둘 경우에 전국의 대학원이 충분한 정보 공개를 하지 않으면 학생이 적절하게 진로를 선택할 수 없을 가능성도 있다. 인기가 있는 대학원에 응모가 집중해, 대학원간의 격차를 염려하는 소리도 나오고 있다. 제언은 대학과 대학원 제도의 구조개혁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인 만큼, 효과나 문제를 충분히 검토하는 것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한편, 일본의 대학은 교수를 정점으로 하는 피라미드형의「강좌제」가 계속되어 폐쇄성에 의한 폐해가 지적되고 있는 것부터 향후, 큰 논쟁이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