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오십줄에 들어선 내가 전문경영인이 쓴 ‘노키아와 영혼을 바꾸다’ 라는 책을 읽는게 무슨 영양가가 있을까 싶었지만, 이내 그런 생각이 바뀌었다. 책의 내용에서 ‘교육제도의 혁신’ 부문을 보았기 때문이다.
마침 나는 고등학교 교사이다. 1년 6개월 전까지만 해도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근무하다가 이곳 공고로 옮겨온 나는 누구보다도 ‘교육제도의 혁신’에 공감하면서도 다람쥐 쳇바퀴 돌 듯하는 정부의 대책에 답답해하던 중이었다. 그런 답답함은 울분으로까지 이어지곤 하는데, ‘노키아 tmc'의 이재욱 회장이 쓴 ’노키아와 영혼을 바꾸다‘를 읽고 보니 막힌 가슴이 뻥 뚫리는 듯하다. 특히 제4부에 실린 ‘교육시스템과 내용을 바꿔야 한다’를 비롯한 여러 글이 그렇다.
‘교육시스템과 내용을 바꿔야 한다’ 는 원고지 20장 안팎의 짧은 글이지만, 우리나라 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점과 현실이 비교적 적나라하게 압축되어 있다. 가령 프랑스나 독일의 학생들은 우리처럼 ‘뒤지게’ 공부하지 않는데도 세계적으로 일류라 할 것들을 많이 가지고 있다는 사례는 새겨볼 만하다.
사실 교육개혁은 해묵은 화두이다. 역대 어느 정권치고 교육개혁을 내세우지 않은 대통령이 없을 정도로. 그런데도 다시 이 모양 이 꼴이다. IMF극복, 남북정상회담 등 업적이 많은 김대중정부가 가장 못한게 교육분야라면 나만의 편견일까.
그런데 책을 많이 읽어야 한다고 강조한 노무현 대통령의 참여정부는 학생들로 하여금 책을 많이 읽게하긴커녕 그것을 그대로 계승하는 듯 보인다. 교육혁신위원회가 가동중이지만, 사교육비 경감대책이랍시고 이미 내놓은 EBS수능과외로 인해 학생들은 오히려 더 눈썹이 휘날리게 ‘공부아닌 공부’ 에 매달리게 되었으니까.
뭐, 공부아닌 공부라고? 그렇다. 내 딸(고2)도 그렇지만, 아침 7시가 못 되어 학교에 가고 자정 다 되어서야 집으로 돌아오는 것이 일반계 고교생들의 현실이다. 0교시수업 (09시 정규수업 이전에 하는 보충학습)에서 심야자율학습까지. 그것도 모자라 고3의 경우 일요일에도 학교를 간다니, 할 말을 잃는다.
참으로 ‘요상한’ 일은 그렇듯 ‘뒤지게’ 공부를 한다면 세계 1등국가로 우뚝 서야 맞을 것 같은데, 현실은 전혀 그렇지 못하다는 점이다. 내 기억이 맞다면 이 땅의 학부모와 학생들이 그렇듯 노랠 불러대는 저 서울대학교조차 세계 100대 대학안에도 들지 못하니, 불가사의도 그런 불가사의가 없다.
이유는 단순하고 자명하다. 공부아닌 공부가 자행되고 있어서다. 극히 일부 학생을 뺀 절대 다수가 오후 5시면 모든 학교생활이 끝나 집에 돌아가는 실업고 학생들도 ‘가볍게’ 합격하는 대학에 들어가고 있으니 국력낭비도 그런 국력낭비가 없는 셈이다.
공부아닌 공부는 그것의 강제적·획일적 시키기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노키아와 영혼을 바꾸다’ 에서도 간간이 말하고 있듯 자기가 좋아 스스로 열심히 하는, 이른바 신바람나는 공부가 아닌 것이다. 그렇듯 마지못해 임하는 억지춘향식 학습이 어떻게 공부다운 공부가 될 수 있겠는가?
제1부에 실린 ‘토론 문화를 정착시키자’ 가 깊은 공감으로 와닿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현재 학교 공부는 교사 혼자 설명하고 학생들이 듣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학급당 정원을 많이 줄였다곤 하지만, 선진국처럼 빙 둘러앉아 토론해가며 수업할 수 없는 주입식 교육인 것이다.
거기에는 더 원천적인 문제가 있다. 수직적 상하관계의 교원사회가 그것이다. 교무회의때 입다무는 것은 왜정때 버릇인데도 교장이 명령을 내리면 다른 의견이 있을망정 그에 따른다. 교장의 획일적 명령에 따른 교사가 학생들을 통제하는 것은 자연스럽다. 요컨대 공부아닌 공부에 길들여진 학생들은 토론문화에 익숙한 선진국과 경쟁할 인재로 크지 못하고, 그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공부아닌 공부에 고교시절을 송두리째 빼앗겼으니 그들이 대학생이 되었을 때 맛보는 해방감은 어찌보면 자연스럽기까지 하다. ‘이제 그 지긋지긋했던 공부아닌 공부로부터 벗어나 놀고 즐기자!’ 뭐, 그런 생각의 늪에 빠져버리는 것도 무리는 아니겠지 싶다.
그걸 알면서도 막상 뛰쳐나오지 못하는데 또 다른 비극이 있다. 나는 현재 고2 딸아이가 공부아닌 공부에 시달리는걸 보면서 어른으로서의 죄짓기를 끝내고 싶지만, 마음이 그럴 뿐이다. 혹시 딸아이가 제도권에서 왕따당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때문 그저 애만 끓이고 있다.
사정이 이런데도 정부나 정치권은 그야말로 무사태평이다. 정부는 EBS수능과외도입으로 ‘교육개혁 끝’을 외쳐대는 것 같다. 정치권 역시 여야를 막론하고 학생들 피를 바작바작 말리는 입시지옥의 국력낭비 현실이 대수롭지 않은 모양이다.
하긴 모든 정책은 예산을 담보로 한다. 학급당 학생 수를 1명 줄이는데만도 몇 백 억원의 돈이 든다고 한다. 그렇다고 한가롭게 예산타령만 하고 있을 때는 분명 아니다. 정부와 국회 모두 한마음으로 똘똘 뭉쳐 풀어나가야 할 막중한 국가대사요 조국발전의 청사진이다.
아이들의 꿈과 청춘을 고스란히 빼앗으면서도 세계 1등국가로의 도약은커녕 선진국과 경쟁할 인재를 길러내지 못하는 교육제도라면 마땅히 당장 뜯어 고쳐야 한다. 백년대계의 교육이라는 점에서 온국민의 화두여야 하고, 슬기와 지혜를 모아 실천해나가야 할 때이다.
이 글이 무슨 논문이나 보고서따위는 아니지만 내친김에 한마디 더 해야겠다. 우선 정규시간(오전 9시 ~오후 5시)의 학교공부만으로도 원하는 대학에 갈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수능시험의 자격고사화가 필수적이다. 그리고 엄격한 대학졸업제도를 병행, 그만큼 필요한 사람만이 학문정진에 애쓰도록 하는 시스템이 고착되어야 한다. 단, 추진과정에서 정부나 각 교육자치단체들이 유의할 것이 있다. 국민의 정부에서 이미 목격한 바 있듯 혁명을 한다는 비장한 결의가 아니고선 일부 학부모들의 반발 및 시위 등 불안해하는 심리를 극복할 수 없다는 점이다.
지금의 국력낭비가 심한 입시지옥, 정말이지 이대론 안된다. 이제 신바람나는 공부가 되게 해야 한다. 바로 ‘노키아와 영혼을 바꾸다’ 가 오십줄에 들어선 내게 안겨준 뜻밖의 선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