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에서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비즈니스를 시작하는 「대학발 벤처」의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 대학발 벤처란 대학에서 달성된 연구 성과나 신기술, 특허를 바탕으로 하여 설립된 기업과 대학의 교원, 학생 등이 설립한 것과 관계된 기업으로 일본 경제산업성은 2001년에 「대학발 벤처 1,000개사 창출 계획」을 발표한 후 기업 수는 금년 3월말까지 총 1,503개사에 이르렀다.
최근 대학발 벤처 기업이 총 1,500여개사로 증가한 이유는 일본은 오랫동안 불황이 계속 된 가운데 대기업은 그 동안 연구를 유보했었다. 그 결과 산업계의 활력이 저하되자 새로운 창조성의 근원을 대학에 요구했던 것이 증가한 이유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국공립 대학이 독립 법인화됨에 따라 대학의 지식 발신력이나 매력을 홍보할 필요성이 강해졌다.
무엇보다 대학이 가지는 지적 재산을 유효하게 활용하자는 기대가 높아져, 교원이나 연구자와 산업·경제활동과의 관련이 보다 밀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앞으로 벤처는 대학의 활성화나 세계의 여러 문제 해결에 공헌할 수 있는 것으로 그 뜻이나 철학을 더 강조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경영의 어려움 등 이에 따른 과제도 지적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대학의 지적 재산이 「유출」되기만 하였었다. 이제는 기술 이전 기관이 사이에 들어가 특허나 기술 공여 등의 관리를 실시하게 되었으며, 벤처기업에 대학이 가세해 산학 제휴도 활발하게 되어 가속도가 붙게 되었다.
산학 연계도 벤처의 하나이다. 산학 제휴는 옛날부터 있었으며, 메이지 시대에 대학이 각지에 만들어진 것은 기술 건국을 목표로 해 지역에서 경제나 산업을 담당하는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그 원점이 다시 재검토되고 있다. 대학 발 벤처기업이 증가했지만 문제점은 무엇보다도 사업의 내용보다, 「몇 개사 설립했다」라고 한 형식적인 달성도를 요구하는 풍조라고 할 수 있다.
정말로 자립해 있는지, 그렇지 않으면 대학이나 지원 기업으로부터 도움을 빌린 「인공심폐」의 덕분인가, 그 실질적인 내용이 문제라는 지적이다. 특히 교수와 사장에게 요구되는 자질은 다르다. 경영 경험이 없는 대학 교수가 단 한번 실패로 끝나버리는 것이 무섭다. 지금의 일본에서는 「칠전팔기」가 아니라「한 번 넘어지면 끝장」이기 때문이다.
미국이나 중국에서 교원이 기업을 경영한 많은 예를 보면, 경영은 전문가에게 맡겨 연구자는 기술 담당 책임자가 되는 것이 좋다는 견해이다. 투자신탁과 같은 사적 유용으로 의심받는 사용법은 좋지 않지만, 재량의 폭을 좀 더 넓히면 이상한 유용은 줄어들 것이라는 견해이다. 한편, 최근의 대학교수는 명예나 수치를 모르게 되었다고 하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