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내 생각은> 선생님 사용 설명서

나는 초등교사치고는 큰 덩치와 까만 얼굴 때문에 아이들이 무서워하는 경우가 많아 친근한 교사로 다가서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그래서 거꾸로 아이들이 나를 친근하게 대할 수 있도록 ‘선생님을 어떻게 대하면 되는지’ 아이들에게 가르치기 시작했다. 인사하는 법, 질문하는 법, 대화하는 법 등 사소하지만 생활에 꼭 필요한 것들을.

선생님에 대해 잘 알게 되면 학교생활에서 겪을 수 있는 불필요한 오해와 불이익을 피할 수 있다는 제안은 아이의 입장에서 매우 솔깃하고 매력적인 제안으로 비춰졌다. 대신 선생님은 무턱대고 아이들에게 잘해주지 않는 사실을 스스로 깨닫도록 하는 것이 중요했다. 서로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이 있으니 이해하고 배려하자는 것이 핵심이다. 

선생님을 알려고 노력하는 아이는 선생님의 긍정적인 관심을 받는 사실들을 알려주면 매우 신기해한다. 그리고는 이렇게 물어본다.

“그럼 전 어떻게 해야 하나요?”

선생님을 알아간다는 건 아이입장에서도 매우 용기가 필요한 행동이다. 요즘 아이들은 무시당하거나 오해받는 것에 극도로 신경 쓰는 것 같지만 의외로 주저하기 일쑤다. 선생님의 역할은 아이의 그 어설픈 행동에도 의미를 부여해주면 된다. 그것이 아이가 용기를 잃지 않고 실패를 재도약의 기회로 삼을 수 있다.

아이는 무시당하거나 오해 받을까봐 행동으로 옮기는데 두려움을 느낀다. 솔직하고 적극적으로 행동하도록 하기 위해선 선생님이 먼저 하면 좋다. 인사 잘하는 아이를 원하면 선생님이 먼저 아이에게 인사를 잘해준다. 즉 아이에겐 적극적인 행동을 요구하면서 선생님도 함께 실천하겠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소통이 원활해지니 선생님에 대한 신뢰가 더 높아졌고 이것은 곧 학부모와의 관계도 좋아져 교권의 신장에도 도움을 줬다.

선생님을 사용한다는 것. 그것이 아이들이 행복한 학교생활을 하는 가장 빠른 지름길임을 믿을 때 아이와 선생님은 함께 성장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