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0일 소방방재청이 주관한 제4회 대전광역시 심폐소생술 경연대회(
사진)가 대전광역시 소방본부에서 열렸다. 소방방재청에서는 각 지역별로 매년 생명존중과 인도주의 정신을 구현하기 위해 심폐소생술 경연대회 행사를 매년 실시해 오고 있다. 이 대회에 서일여고 2학년 학생 2명이 참가해 2위에 입상하는 쾌거를 이뤘고 다음 달 전국대회 출전을 앞두고 있다.
심폐소생술 훈련은 지난 2007년 우리학교 청소년적십자 동아리(RCY) 학생이 횡단보도를 건너던 중 법규 위반 차량에 교통사고를 당한 사건을 계기로 시작됐다. 사고를 당한 학생을 보고 안타까운 마음과 동시에 초기 응급치료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게 된 필자는 다음해 심폐소생술 자격증을 땄고 학생들을 지도하기 시작했다. 우리 동아리 학생 110명도 부상을 당한 선배를 보면서 나와 같은 마음으로 동아리 시간을 활용해 교육을 받고 연습을 했다.
응급상황은 예기치 않은 것으로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다. 급박한 사고 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처치자는 최초 목격자다. 119 구급대원도, 의사도 없는 현장에서 최초 목격자의 응급처치에 따라 소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것을 4분의 기적이라고 부른다. 심정지가 발생한 후 4~5분이 경과하면 뇌가 손상을 받기 때문에 심정지를 목격한 사람이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작해야 소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다.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이 실시되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생존율이 2~3배 향상된다고 한다.
우리 학생들은 심폐소생술을 익히기 위해 마네킹(anne)으로 인공호흡 및 심장마사지를 연습하고 있다. 동아리 시간 및 야간자율학습시간을 활용해 2인 1조가 돼 심정지 환자의 소생을 위한 연습을 꾸준하게 진행하고 있다.
학생들은 이와 같은 심폐소생술 교육을 통해 어떤 위급상황이나 급박한 경우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있다. 또 동아리 학생들이 돌아가며 매월 날짜를 정해 대전역 등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서 심폐소생술 보급을 위한 서포터 역할 및 봉사활동을 갖고 있다.
이런 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생명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일깨워줄 뿐 아니라 배움과 실천을 통해 생명까지 구할 수 있다는 긍지를 심어줄 수 있기 때문에 교육적 효과는 무엇보다도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