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4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칼럼> 사라지는 종합고(綜合高) 되살려야

엊그제 입학식을 치른 것 같은데 벌써 한 학기를 마치고 있는 1학년 수업시간에 고교진학을 어떻게 할 것인지 생각해 본적이 있는 사람은 손을 들어 보라고 하니 딱 한 명이 손을 든다. 손을 든 학생은 특성화고의 자동차관련학과를 가고 싶다고 했다. 구체적인 학교는 아직 정하지 못했지만 자동차 레이스에서 재빠르게 차량을 수리하는 멋진 정비사가 되는 것이 그 학생의 꿈이었다.

순간 필자가 몸담고 있는 병설고등학교에서 사라져가는 자동차과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었다. 이 학과가 사라지지 않는다면, 그 아이는 집 가까운 거리에서 통학을 하며 자신의 뜻을 가꿔 갈 수도 있었을 텐데, 이젠 관련학과가 있는 외지로 나가야 한다는 생각에 마음이 무거웠다.

종합고등학교는 대학을 진학을 위해 공부하는 보통과와 취업을 전제로 학업을 수행하는 실업과가 합쳐서 존재하는 학교, 즉 일반고와 특성화고가 합쳐진 고등학교를 일컫는다.

우리나라에 종합고가 생기게 된 배경에는 한국전쟁 후 미국 교육사절단의 권유가 있었다고 한다. 산업인력을 키우기 위한 직업훈련을 할 수 있는 학교 설립을 권장했으나, 별도의 실업계학교를 설립하기가 어려워 기존 일반계고교에 직업 실업반을 설치 운영한 것이 그 시작이었다. 주로 농업, 상업, 공업 등의 관련학과가 일반고에 설치됐는데 1970년대 초에는 200개가 넘는 종합고가 있었다고 한다.

이 학교들은 7, 80년대의 고도 산업화 사회를 선도하는 많은 산업역군을 배출했으나 대졸자 우대, 지식정보화사회 도래와 더불어 궂은일, 힘든 일, 위험한 일을 지칭하는 3D 직종의 기피현상이 두드러지면서 90년대 중반부터 실업고 입학생이 급격히 줄어들기 시작했다.

이때 순수 실업계고보다 보통과와 함께 실업과가 존재했던 종합고들이 큰 타격을 입었다. 한 울타리에서 입학성적 차이에 따라 지원해 보통반, 실업반이 갈리게 되고 거기에서 오는 학생 간의 위화감과 이에 따른 학교교육과정 운영의 난맥상도 드러나게 되자 종합고의 폐지가 대두되기 시작했다.

이후 종합고의 실업반은 점차 줄어들어 지금은 당초의 절반 밖에 남아있지 않게 됐으며, 공립학교보다 사립학교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럼에도 21세기를 주도할 학생들에게는 적성과 흥미에 따른 진로선택의 다양성과 폭넓은 꿈을 가꿀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해서라도 종합고의 존치가 필요하다.

여건이 좀 나은 중·소도시 이상에서는 순수 실업고나 직업훈련기관이 있어 선택의 다양성이 있지만, 그런 시설이 없는 농어촌의 학생들에게는 선택의 폭이 좁을 수밖에 없다. 즉 아무 생각 없이 진학에 의한 진학을 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 안타까운 것이 첫 번째 이유다.

두 번째는 지금까지 투자됐던 시설들이다. 물론 학생들이 없는 교육시설은 존재할 가치가 없다. 허나 고졸취업의 사회적 분위가 고조되고 있고 이에 따른 특성화고 입학생 지원이 늘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 좋은 교육시설을 그냥 버릴 수는 없기 때문이다.

세 번째, 종합고의 존치가 농어촌 인구 유출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고 진학은 대학진학으로 이어져 학생들이 외지로 나갈 수밖에 없다. 그러나 비록 소수 일지라도 특성화고에서 배운 기술로 자격증을 취득해 지역 내에서도 일할 수 있게 된다면 농어촌인구 유지에 어느 정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물론 여기에는 예전처럼 지역산업을 고려하지 않은 실업반을 운영해서는 안 된다는 전제가 따른다. 종합고가 지역에 기여하려면 지역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 중요하다. 즉 지역 특징적인 산업현상을 파악하고 거기에 맞는 특화된 학생을 길러내는 전문과 설치가 요구된다.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기본통계조사발표’에 따르면 특성화고는 ‘선 취업 후 진학’ 현상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고 한다. 특성화고 졸업자의 대학 진학률은 50%로 61.0%인 전년(2011년) 대비 11%나 감소했다. 71%였던 2009년 이후 급감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또 취업률은 2012년 77.8%로 68.2%였던 전년에 비해 9.6%나 증가했다고 한다.

이처럼 진로선택에 대한 학생, 학부모의 선입관이 달라지고 있다. 20년 공부해서 40년 먹고 사는 시대를 지나, 30년 공부해서 60년을 즐기고 살아갈 후대들에게는 다양한 진로탐색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비록 소수라 할지라도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가 ‘행복한 삶’이라면 그들의 선택권을 보장해줘야 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