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평소 전교조를 이대로 두고는 우리 교육의 희망이 없다고 생각해왔다. 가치관이나 세계관을 형성해나가는 과정에 있는 초중등학생에게 교사의 영향력은 지대하다. 이 과정에서 교사의 한두 마디조차 마치 지울 수 없는 ‘문신’처럼 학생의 사고에 각인된다. 매일 만나는 전교조 교사들이 조직적으로 같은 메시지를 반복해서 전하면 학생들은 ‘전교조적인 세계관’에 세뇌될 수밖에 없다.
전교조의 가장 큰 문제는 대한민국을 부정한다는 점이다. 단적인 예로 전교조 행사에는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지 않고 애국가를 부르지 않는다. 대한민국을 실패한 체제로 정의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건국 이후 대한민국이 이룩한 눈부신 성취의 역사는 외면하고 현대사의 어두운 측면을 애써 부각시킨다. 이것이 전교조가 강조하는 소위 ‘비판적인 사고’다. 이런 교사들에게 배운 학생들의 마음에 ‘애국심’이 자리 잡을 수 없다.
전교조 교사들이 평소 교실에서 서슴없이 자신의 정치적 편향을 드러내고 선거 즈음해서는 특정후보를 편들거나 폄훼하는 발언을 서슴지 않는다는 학생들과 학부모의 걱정과 민원이 심심찮게 들린다. 일부 전교조 교사는 더 노골적으로 저잣거리에서 들어도 편치 않을 비속어까지 사용한다는 제보도 들린다. 이쯤 되면 교육이 아니라 정신적인 폭력이다. 만약 외국이었다면 파면은 물론이요 당장 구속될 정도의 폭력이 우리 아이들의 교실에서 자행되고 있는 것이다.
나는 대한민국을 부정하는 세력에게 우리 아이들의 교육을 맡겨서는 결코 안 된다고 생각한다. 특히 교육이란 미명 하에 일어나는 정신적인 폭력에 대해서는 더 이상 눈을 감아서는 안 된다. 서울시 교육감 재선거가 대선과 함께 치러진다. 서울 교육감은 ‘교육 대통령’으로 불릴 만큼 막강한 힘이 있다. 새로 당선될 서울교육감은 적어도 이런 문제들에 대해서만큼은 불관용(不寬容)의 단호함을 보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