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2월 19일에 서울시교육감 재선거가 실시된다. 서울시교육감은 7조원이 넘는 예산을 갖고 2천 2백여 개에 달하는 유·초·중·고교를 운영하며, 126만 명의 학생을 교육하고, 8만 명에 육박하는 교사들의 인사를 책임지는 실로 막중한 자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몇 년 사이 교육감 선거는 재선거, 보궐선거가 어쩌면 당연한 것으로 여겨질 만큼 교육감직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일이 됐다. 교육을 책임지겠다고 나온 후보들이 금품수수, 후보매수 등의 비리를 저질러 중도 낙마하는 일이 전국적으로 비일비재해졌다. 이번 서울시교육감 재선거를 치르기 위해 서울시교육청이 선관위에 지불한 돈이 220억 원이라고 한다. 그야말로 국민의 혈세를 낭비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면에서 볼 때, 국민들이 바라는 교육감이 갖춰야 할 자질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가장 첫 번째 조건은 높은 도덕성을 갖춘 인물이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회 지도층 인사들에게는 높은 도덕성이 요구된다. 그 중에서도 아동을 가르치는 입장에 있는 교육계 인사들에게는 더 높은 도덕적 잣대를 이 사회가 요구하고 있다.
둘째, 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인물이어야 한다. 학생들에게 무엇을 가르쳐야 할 것인지,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지, 교육재정을 어떻게 확보하고, 어느 곳에 써야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지, 떨어진 교원의 사기를 어떻게 하면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안목과 혜안이 있어야 한다. 학생의 인권 못지않게 교사의 교육권도 중요하다. 무상급식도 중요하지만, 교육시설 현대화, 교원 전문성 신장 및 업무 경감을 위한 행정지원인력 확충 등 그 보다 더 중차대한 교육 재정 투자의 우선순위는 얼마든지 있다.
셋째,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인물이 돼야 한다. 교육재정 확충을 포함해 다양한 교육정책을 적기에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대통령을 위시한 중앙행정부, 국회, 서울시장 및 서울시 의회 등 지방정부와 원활한 교섭 능력을 갖춘 정치력 있는 인물이 필요하다. 다만 특정 정당의 2중대 역할을 해서는 안 된다. 정치력을 발휘하는 능력과 정치에 예속되는 것은 구분돼야 하기 때문이다.
이번 서울시교육감 선거에서는 도덕적이고, 교육에 대한 전문성과 역량을 갖춘 사람이 선택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