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창시절 소위 말하는 ‘모범생’이었다. 선생님 말도 잘 듣고 거의 잠이 깨어있는 모든 시간을 공부만 하면서 보낸 것 같다. 그 당시 선생님들은 하늘같은 존재였다. 감히 대항하거나 비판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었다. 그럼에도 지금 생각해보면 참 존경스러운 선생님도, 조금은 아쉬웠던 선생님도 기억이 난다.
고교 시절 넉넉하지 않은 집안 탓에 혼자 참고서를 붙들고 씨름하다 허구한 날 수업이 끝난 후에도 교무실까지 따라가 질문했던 수학선생님이 가장 먼저 생각난다. 선생님의 귀중한 쉬는 시간 10분을 빼앗아 버렸지만 아까워하시기는커녕 오히려 방과 후까지 남아 다른 문제들을 풀어보라며 장시간 보충수업을 해주셨다. 중학교 1학년 담임선생님은 1년 동안 한 번도 이름을 부르지 않아 서운한 추억으로 남아있다. 그래서인지 이름 대신 항상 불렸던 ‘34번’은 아직도 기억한다. 그때 상처는 한 학년 올라가 할아버지 선생님을 만나면서 풀렸다. 따사로웠던 선생님은 특별히 무엇을 잘해주시지 않았지만 말 한마디 한마디에 애정이 느껴졌고, 마음속 평온을 가져다줬다.
고교를 졸업하고 20년이 지난 지금, 학창시절 친구들을 만나 술이라도 할라치면 아직도 은사님 이야기가 자주 화제에 오른다. 좋지 않은 기억을 가진 선생님뿐 아니라 고마웠던 분들은 지금 어디서 근무하실까 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하지만 세상이 바뀌었고, 요즘은 학생이 선생님을 때렸다는 뉴스 기사가 심심치 않게 올라온다. 성폭력 기사와 더불어 교사 폭행사건은 세간의 관심을 끌 수 있어 앞 다퉈 뉴스가 되는 탓도 있겠지만 학생들이 선생님을 바라보는 시각이 예전과는 분명 달라졌다.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부당하고 감정적인 처사를 했거나 먼저 원인제공을 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다른 학생들이 모두 보고 있는 교실에서 공공연하게 선생님에게 대들고 폭력을 행사하는 일은 수단의 정당성을 잃은 것이라 생각된다.
학생들이 폭력을 행사하지 않고도 자신의 억울함을 토로할 수 있는 합법적인 기회가 보장되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아무리 섭섭하고 분하더라도 법에서 허용하지 않는 폭행, 폭언 등의 수단을 이용해 자신의 옳음을 증명하려는 태도는 비난받아 마땅하다. 특히 선생님은 우리의 가장 소중하고 순수한 시절을 바라봐주고 기억해주는 분이고, 부모님보다 더 많은 시간을 함께 하시는 분들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