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6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릴레이기고> 아동기 자존감 향상·회복 교육의 필요성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③

학생들이 서로 존중하고 함께 어울리는 행복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서는 학생들 간에 발생하는 문제의 원인을 알아야 한다. 다른 학생들에게 폭력을 행사하거나 피해를 입히는 학생들의 공통점은 자아존중감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자아존중감이란 자신을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마음으로 자존감이라고도 한다. 물론 자신의 가치에 대한 생각 뿐 아니라 감정도 자존감에 포함된다. 자존감은 아동기부터 쌓인 자부심이나 수치심 같은 감정들을 기초로 형성된다. 이런 자존감은 성인이 돼서도 자신과 주변 세계를 바라보는 데 영향을 준다.

자신 존중해야 타인도 존중

자신을 가치 있고 소중하다고 여기는 학생은 자신을 망가트리는 일을 하지 않는다. 또 자아실현과 같이 가치 있는 일을 하려고 노력한다. 나아가 자신 뿐 아니라 타인도 귀하게 생각해 이타적인 인간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새로운 일에 도전할 때도 자신을 믿기 때문에 두려움 없이 도전하게 되고 자신 있게 행동하기 때문에 원만한 사회생활과 활력 있는 삶을 영위하게 된다.

따라서 자존감을 향상시켜 학생들이 자신을 유능하고 가치가 있는 존재로 여기고 아울러 다른 학생들을 존중한다면, 학생들은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할 뿐만 아니라 다른 이들의 꿈을 실현하는데 도움을 주는 존재가 될 것이다.

이런 자존감 향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능력과 가치에 대한 주관적 평가다. 이 주관적 평가는 두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데 첫 번째는 아이들 스스로 성취감과 유능감을 경험한 정도다. 즉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지?’, ‘내가 잘하는 것은 무엇이지?’ 등 자신의 능력과 관련된 생각들에 의해 주관적 평가가 결정된다.

학교에서는 아이들이 스스로 성취감과 유능감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독서, 한자, 영어, 줄넘기 등 다양한 인증 프로그램을 개발해 학생 개개인이 성취한 수준에 맞춰 인증을 해줄 필요가 있다. 수행평가도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해 아동들이 과제를 수행하면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주관적 평가를 결정하는 두 번째 요인은 아이들의 행동에 대한 주변 사람들의 반응이다. 부모, 교사, 또래 등 중요한 사람들이 자신을 중요하고 가치 있게 평가하는 것을 통해 자존감이 발달한다. 타인의 긍정적인 평가가 많으면 개인의 자존감은 높아지고, 반대로 부정적인 평가가 많으면 자존감은 그만큼 낮아진다.

칭찬 통해 높아지는 자존감

학교에서는 아동들이 교사나 또래 집단으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칭찬 릴레이, 칭찬글쓰기, 자기 칭찬하기 등 서로를 칭찬하고 자신을 칭찬하는 여러 활동을 통해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경험하면서 아동들의 자존감은 높아진다. 주변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이나 생각을 수용해주고 이해해주면, 아이는 자신의 행동과 생각이 가치 있다고 여기고 자신의 능력과 결정을 신뢰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경험들이 쌓이면서 자신을 바라보는 긍정적 태도와 관점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듯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길은 학생들이 자아존중감을 회복하는 것이다. 자신을 소중하게 여기고 아울러 다른 아이의 가치를 인정하면서 함께 더불어 살아갈 수 있도록 한다면, 피해자나 가해자 없이 교사와 학생 모두가 행복한 학교를 만들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