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사용이 급속히 증가하면서 스마트폰 중독이 인터넷, 게임 중독에 이어 새로운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여성가족부의 조사에 따르면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소지율은 2010년 5.8%에서 2011년 36.2로 무려 6배가량 늘어났다. 스마트폰을 가진 청소년이 늘어난 만큼 스마트폰에 지나치게 의존하거나 스마트폰으로 인해 일상생활의 불편과 장애를 겪는 청소년들도 늘어났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조사한 결과 스마트폰 중독률은 전체인구의 8.4%에 달했는데 청소년이 11.4%인데 반해 성인은 7.9%로 나타났다. 성인보다 청소년층의 스마트폰 중독이 더 심각한 것이다.
흥미로운 점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카카오톡 등 채팅이나 메신저 기능 또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사용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쓴다는 점이다. 즉 커뮤니케이션 기능이 스마트폰 의존이나 집착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다.
특히 디지털 세대인 청소년들에게는 스마트폰 사용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많은 청소년들에게 카카오톡이나 페이스북을 통해 친구들과 교류하며 일상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이제 자연스럽고 일상화된 일이다.
그런 만큼 향후 인터넷 중독이나 게임 중독처럼 스마트폰 중독을 호소하는 청소년들이 늘어날 수 있다. 지금이라도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대책을 하루 빨리 마련해야 할 때다. 학교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대책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은 학칙 제정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012년 3월 초·중등교육법시행령을 개정해 학교규칙(이하 학칙)을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정하도록 했다. 학칙의 중요한 사항 중 하나는 휴대전화 등 전자기기의 사용에 관한 규정이다. 일선 학교에서는 학생, 학부모, 교원의 의견을 수렴해 이제 그 내용에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규칙을 포함시켜야 한다. 굳이 스마트폰을 수거하여 보관하지 않더라도 수업시간에만큼은 스마트폰을 꺼 놓는 등의 규칙을 정해 실천할 수도 있다.
이 때 중요한 것은 학생들의 문화를 최대한 이해하고 학부모, 교사가 함께 협의해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규정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학교 구성원들이 스스로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규정을 만들어 지킬 때 건전한 스마트폰 사용문화가 확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은 미디어 교육이다. 학생들을 만나보면 스마트폰을 비롯한 디지털 기기에 대한 교육을 학교에서 거의 받지 않았다고 이야기한다. 다시 말해 많은 학생들이 어떻게 스마트폰을 쓰는 것이 좋은 것인지 충분히 숙지하거나 고민하지 않은 채 스마트폰을 쓰고 있다는 것이다. 스마트폰의 건전한 사용에 대한 교육이 학교수업시간을 통해 수시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게임에 탐닉하거나 성인용 콘텐츠를 접하는 등 무분별하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청소년들이 늘어날 수 있다.
이를 막기 위해 학교에서는 청소년들이 스마트폰의 다양한 긍정적인 기능들을 직접 체험해보고 공유하는 기회를 많이 만들 필요가 있다. 스마트폰에는 무수히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있다. 이 중 청소년들의 건전한 성장에 도움이 될 만한 애플리케이션을 찾아 공유할 수도 있고 수업시간에 스마트폰을 보조도구로 활용할 수도 있다. 카카오톡이나 페이스북을 통해 교내 문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할 수도 있고 특정사안에 대한 설문조사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조별 학습의 경우 스마트폰의 기능을 이용해 학습자료를 쉽게 공유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 이용이 청소년들의 문화로 자리 잡은 만큼 이제 필요한 것은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이용시간을 무조건 줄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전하게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도록 미디어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다.
지금 자라나는 세대들은 이미 서너 살 때부터 디지털 기기에 익숙해져 있다. 따라서 어린이집, 유치원 때부터 아이들이 디지털 기기를 건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미디어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을 고려한다면, 가급적 어릴 때부터 빨리 미디어교육이 진행돼야 한다.
이런 교육을 통해 어렸을 때부터 미디어 사용시간을 스스로 통제하는 능력을 길러줘야 한다. 아울러 미디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긍정적 측면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어렸을 때부터 올바른 미디어 이용 습관을 형성해야 성인이 돼서도 건전하게 미디어를 이용할 수 있다. 일본이나 영국 등 선진 국가들은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때부터 미디어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어렸을 때부터 미디어교육을 실시해야만 그만큼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