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정책

‘통합형’ 소규모학교, 지역공동체 이끈다

교육·문화센터 역할 톡톡…주민이 먼저 학교 살리기 나서
교과부의 모순 “우수학교 선정해놓고 경제논리 통폐합”

‘통합형’ 작은 시골학교의 성공 사례

소규모학교 통폐합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교총과 교과부는 5일 교섭을 통해 교총이 대안으로 제시한 통폐합 대신 ‘통합형’학교로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합의했다. 교총이 제안하는 지역 거점 평생교육센터로서의 역할을 하는 ‘통합형’학교는 어떤 모습의 학교일까. 학생들의 정규수업은 물론 다양한 방과후교실과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운영, 열악한 교육환경 개선은 물론 각종 지역모임이나 문화활동의 중심지 역할까지 해내고 있는 ‘통합형’ 작은 시골학교의 성공 사례를 찾아봤다.

전북 완주 이성초(교장 성락인)는 시골 소규모학교가 지역 공동체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는 대표 사례다. 이 학교는 2007년 학생 수가 24명까지 줄어 한때 폐교 위기에 몰리기도 했다. 마을 전체인구가 764명에 불과하고 그중 46%가 65세 이상 노인인 현실에서 당연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이성초 교사들은 학생 교육을 넘어 지역밀착형 학교운영을 통해 이 위기를 극복했다. 서예·한국화 등 주민대상 10여개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야간에는 '별빛도서관'이라는 이름으로 학교 도서관을 개방해 지역주민들로부터 존재의 이유를 인정받기 시작했다.

여기에 힘입어 교사들이 직접 졸업생들에게 일일이 전화를 걸어 그동안 유명무실했던 총동창회를 복원, 매년 학교 운동장에서 체육대회를 여는 등 지역 출신자들과의 연결고리도 형성했다. 그 결과 불과 1~2년 만에 학생 수는 100여명 증가했고, 학교는 지역공동체에게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교육·문화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잠깐 스쳐가는 붐 현상도 아니었다. 현재도 이성초는 전교생 149명의 작은 학교지만 내실 있는 교육을 위해 규모를 확대하고 있지 않을 뿐, 타지에서도 전·입학을 희망하는 학생이 많아 대기 순번을 기다려야 할 정도로 인기가 많다.

2007년부터 6년째 이 학교에 근무하면서 학교 변화에 일조한 김연진 교사는 "이성초는 이 지역 주민들에게 거의 유일한 교육문화시설"이라며 "올해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으로 도자기, 노인 한글교실, 건강발마사지 등을 운영하고 있는데 어르신들이 너무 좋아하신다"고 말했다.

김 교사는 "노인 한글교실을 옆에서 지켜보시던 몇 분이 '같이 배우고는 싶은데 한글은 이미 알고 있으니 대신 영어를 가르쳐 줄 수 없겠냐'고 하셔서 따로 세 분을 모시고 영어를 가르쳐드리고 있다"며 "어르신들은 젊은이들과 대화를 나누는 것만으로도 무척 즐거워하시는데 이런 시골에서는 학교가 이런 즐거움을 드릴 수 있는 유일한 장소"라고 말했다.

이 학교 성락인 교장은 “학교의 다양한 평생교육프로그램을 경험한 주민들이 이제는 학교가 없어지면 지역사회문화 중심이 사라진다는 생각을 갖게 된 것 같다"고 말했다.

전교생이 55명밖에 되지 않는 원주 황둔초는 학생보다 더 많은 70~80명의 지역주민이 학교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황둔초가 있는 원주시 신림면은 정부 귀농정책에 따라 도시에서 이주해 온 가족들이 많아 비교적 문화·교육적 수요가 많은 편이다. 다른 농촌지역에 비해 비교적 시설이 잘 갖춰진 편이었지만 초기엔 주민들의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지난해 황둔초가 강원도교육청 평생교육연구학교로 지정되면서 생활도예, 컴퓨터, 사물놀이 등 다양한 평생교육을 실시하자 지역 주민들의 만족도가 크게 개선됐다. 학교도서관을 마을도서관으로 개방한 것도 큰 호응을 얻었으며, 동문회 축제, 인라인 축제 등 지역 행사를 봄, 가을에 개최해 마을 주민의 화합 도모에도 기여했기 때문이다.

이 학교 안용화 교사는 "시골 학교가 지역 주민들에게 소중한 문화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는 만큼 적어도 마을 하나 당 학교 하나는 있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최근 삼성전자 갤럭시노트 광고에 등장해 화제가 된 제주 애월초 더럭분교장은 시골학교의 중요성을 공감한 교원과 주민이 똘똘 뭉쳐 폐교 위기에서 벗어난 케이스다.

제주 애월읍 하가리 주민들은 마을에 사람이 늘어야 학교를 다닐 아이들도 생길 것이라는 생각으로 2010년 마을회관 옆에 10가구 규모의 연립주택을 짓고 외지인을 대상으로 주택임사 사업을 추진했다. 교사들은 학생 수가 적은 시골 소규모학교의 이점을 살린 친환경·인성교육으로 주민들의 성원에 화답했다.

소규모학교에 관심을 갖고 있던 젊은 부부가 서울, 경기, 부산 등지에서 모여들자 마을에는 활기가 돌기 시작했고 2009년 16명까지 줄었던 학생이 46명으로 늘었다. 덕분에 더럭분교는 폐교 대상에서 제외됐을 뿐 아니라, 전체 3개 학급에 교사 3명이었던 학교가 6개 학급, 교사 7명으로 확대돼 복식수업에서 벗어나게 됐다.

이러한 시골 소규모학교의 교육·문화적 가치를 널리 알려온 것은 사실 교과부다. 이주호 장관은 2010년 좋은학교 박람회에 다녀온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좋은 학교 박람회에서 전교생이 76명에 불과한 남해 산동초 학생들의 오케스트라 연주가 상당히 감동적이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실제로 좋은학교 박람회, 방과후학교 페스티벌,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 등 교과부가 선정한 우수하고 좋은 학교 명단에서 전북 이성초, 함양 서상초, 영월 봉래중, 서천 한산초, 전북 마령고 등 소규모 농산어촌학교들의 이름을 찾아볼 수 있다. 교과부 스스로 이들 학교의 존재가치를 인정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경제논리를 펴는 모순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소규모학교 딜레마에 대해 김성열 경남대 대외부총장은 “도시 학교와는 달리 소규모 시골학교는 교육을 매개로 서로 간에 관심사를 교류하는 지역사회 활동의 중심지라는 사실을 간과해선 안 된다”면서 “정부는 교육청에 지역적 특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정책 추진의 자율성을 부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컨대 초등이나 중학교의 경우는 1면 1교, 고교는 1군 1교와 같은 원칙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부총장은 “어떤 정책이든 성공하려면 정책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집단이 정책의 필요성에 공감해야 한다”며 “주민이 납득하는 정책을 펴야 농산어촌과 지역 교육을 살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